'콘텐츠를 파는 형태'가 큰 돈이 되는 산업이 된 지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콘텐츠를 말하는 방송국도 '판매'로 큰 돈을 벌지는 못한다. 실상 영화를 제외하고 무엇이 있었을까? 한국 영화는 CGV로 대표되는 멀티플렉스 시스템이 구축된 이후로 보면 될 것 같고. (사업자가 돈 버는 것과 산업이 성장하는 것은 약간 다른 맥락) 콘텐츠를 한 군데에 둔 플랫폼이 생기고, 디지털에 대한 소비습관이 생기고 (음원이 시발점), 양지에서 구매가 음지에서 구매보다 편해지면서 큰 시장이 생겨났다. 디지털 플랫폼에 기반한 긱 노동이 최근에 주목받지만, 디지털 플랫폼은 이전부터 여러 산업에 생각지도 못한 물결을 열어주었다. 콘텐츠가 왕이라고 하지만, 콘텐츠가 돈을 버는 구조는 플랫폼이 길을 터주는 셈. 그 점에서 개별 콘텐츠 크리에이터 프로듀서보다 그들의 비즈니스 구조를 짜내준 경영자에 대한 감탄을 자주 하는 요즘.

킹덤·이태원 클라쓰...독특한 세계관, 신박한 영상 갖춘 '웹툰 리얼리즘' 진격 계속된다

n.news.naver.com

킹덤·이태원 클라쓰...독특한 세계관, 신박한 영상 갖춘 '웹툰 리얼리즘' 진격 계속된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4월 6일 오전 12:2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간만에 개발 떡밥이(신난다) 이번엔 제가 소수 입장에 있는 ORM이군요. 후후..


    저는 몇몇 사건을 통해 ORM 반대주의자가 된 사람인데요.


    ... 더 보기

    나는 가끔 조합형 한글의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한다.


    그 아름다움은 단순히 예쁜 글꼴이나 정갈한 종이 위의 자소 배열에서 끝나지 않는다. 진짜 매력은, 정밀한 정보 구조와 이산 수학적 규칙성 속에 숨어 있다.


    ... 더 보기

    🙉 달레의 찐팬이 되어주실래요? 💕

    ... 더 보기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

    이력서에 쓰는 경험

    

    ... 더 보기

    여러분 PostgreSQL 프로시저는 Python, JavaScript은 물론 Perl, Java, Lua 등도 사용할 수 있답니다~* 대부분 구식🤭 MySQL만 쓰셔서 모르시겠지만.. (도망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