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리부 143 새해에는 크고 작은 계획을 1-2가지 이상을 세우는 것 같아요. 문제는 그것을 잘 지키고 연말에 웃으며 마무리할 수 있느냐 인 것 같습니다. 오늘은 개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합니다. 성공하는 계획 뒤에는 '의지력' 대신 이것이 있다 저자 이소연 구글에서는 목표를 두 가지로 분류한다. '고객의 문의 사항에 100% 응답하는 것'과 같이 기업으로서 반드시 달성해야만 하는 최소한의 기준인 '필수적인 목표(committed goal)', 그리고 '고객의 만족도를 99%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와 같이 쉽게 도달하기 힘든 도전적인 목표(aspirational goal)가 그것이다. '필수적인 목표'의 기대 점수는 1.0. 즉, 100%를 달성해야만 의미 있는 것이다. 하지만 '도전적인 목표'의 경우에는 목표 자체를 야심차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70% 정도를 달성하여 기대 점수가 0.7에 이르면 성공으로 간주한다. 최대한 1.0을 추구하되, 결과가 이에 미치지 못했다고 해서 좌절하지 않는 것이 OKR의 정신인 것이다. 지금 내게 필요한 도전, 목표가 무엇일지 고민해 보고 이를 OKR에 적용해 보자. 큰 도약을 기대한다면 도전적인 목표를, 일상에 약간의 자극을 주거나 작은 습관을 만들고 싶다면 필수적인 목표를 적절하게 OKR에 설정하면 된다. O는 영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목표'를 제시하고, KR은 목표에 이르는 과정을 수치를 통해 검증하고 추적할 수 있게 하여 뚜렷한 '방향'을 제시한다. 마라톤에 비유하자면, OKR은 골인 지점이 어디인지 알려주고, 총 42.195km의 거리를 어떻게 뛰어야 하는지 알려주는 지침과 같다. 인생에서 궁극적으로 이루고 싶은 것이 있다면 끊임없이 '왜?'라는 질문을 던질 줄 알아야 한다. 적어도 3번 이상 연달아 '왜?'라고 묻고 그 이유를 찾아내야 내가 정말로 영위하고 싶은 삶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5000만이 훌쩍 넘는 조회수를 기록한 사이먼 시넥의 TED 강연 '위대한 리더들이 행동을 이끌어내는 법'을 보면, 훌륭한 리더는 '왜?'라는 질문을 통해 자신의 신념을 토대로 소통하고 행동한다는 내용이 나온다. 그는 안에서부터 '왜', '어떻게', '무엇을'이라는 질문으로 이루어진 원을 그려 '골든 서클'이라 칭했는데, 이때 가장 바깥쪽에 있는 '무엇을'밖에 생각할 줄 모른다면 타인의 마음을 움직이지 못한다고 말한다. 시간을 잘 활용하고 싶다면 먼저 나의 시간 사용법을 기록하고 분석하여, 줄여도 되는 활동을 찾아내 여유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메릴랜드 대학의 심리학과 교수, 에드윈 로크가 주창한 목표 설정 이론(goal-setting theory)에 의하면, '개인이 의식적으로 설정한 목표는 행동과 동기에 영향을 미쳐 더 나은 성과를 내는 데 기여한다'고 한다. 매일의 진척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 자연스레 재미와 성취감을 느낄 수 있으며, 더 열심히 하여 '레벨 업'을 꾀하고 싶다는 동기가 부여된다는 것이다. 최소한의 요구 사항을 반영한 작은 규모의 제품을 IT업계에서는 MVP(minimum viable product(최소 기능 제품))라고 부른다. 예산을 할애해 거대한 개발 프로젝트를 론칭하기보다는, 최소한의 기능만을 구현한 MVP를 통해 유효성을 검증하고 피드백을 수집해 더 나은 상품 개발로 이어나가는 것이다. 작게 시작하여 실패는 빨리 끊어내고 성공적인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데 집중한다면 시간과 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회고 결과, 추구하는 목표에 회의감이 들었거나 지금의 전략이나 방식으로는 목표에 이르지 못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면 다음번에는 방향을 틀어 새로운 시도를 해보아야 한다. 이것을 '피보팅(pivoting)'*이라고 한다. 전면적으로 목표와 전략을 재고하고, 새로 도전한다는 뜻이다. 피보팅은 기존에 하던 것을 내던지고 전혀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것이 아니다. 한쪽을 축으로 하여 다른 한쪽을 회전시킨다는 의미로, 내가 잘하고 있는 부분은 고정하여 계속 좋은 흐름을 유지하되, 잘 못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뜻한다.

2022년 1월 3일 오후 11:37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