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에서 성장의 기회 발견하기] 불과 10년전만해도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자주 나왔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대기업에 공채로 입사하게 되면 탄탄한 장래가 보장받는다는 인식이 많았습니다. 실제로 경공업이 중공업으로 발전하고, 첨단산업으로 발전하는 산업의 고도 성장기 시절에는 대기업에서 기회가 많았습니다. 자연스럽게 회사의 규모가 커지고 회사에서 해야할 것이 많아지면서, 회사에 오래 있는 것 만으로도 업무의 영향력이 커지고, 팀을 리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기존의 대기업이 영위하던 사업들은 성장세가 예전처럼 가파르지 않고 조직의 크기가 커지기는 커녕 작아지는 곳들도 있습니다. 많은 곳들에서 공채가 없어지고, 신입사원이 들어오지 않아서 5년차가 부서의 막내인 곳들도 많아졌습니다. 상위 직급의 정체가 많아지면서 거의 모든 대기업이 직급체계를 개편하고 있습니다. 이는 수평적인 회사를 지향하기 위해서도 있지만, 내부의 직급체계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이기도 합니다. 반면 IT는 몇 안 되는 성장속도가 빠른 산업입니다. 그 중에서는 스타트업은 작은 규모로 시작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1년마다 다른 회사가 되는 수준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지금 대기업들이 과거 직원들에게 주었던 성장의 기회가 지금은 같은 이유로 스타트업(특히 IT)에 있습니다. 영상은 샌드버드 대표님이 운영하시는 존잡생각 채널입니다. 다른 영상에도 밀도 높은 콘텐츠로 항상 좋은 프레임을 제공해주시는데, 36화는 스타트업에 성장하기 위한 생각의 프레임을 여럿 이야기해주셨습니다. 다른 영상에 비해 영상시간도 긴 편입니다.(22분) 설연휴 동안 한 번은 보고 올해 성장계획을 점검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Ep.36 스타트업에서 내 성장의 기회 뽕뽑기! - 자기계발편

www.youtube.com

Ep.36 스타트업에서 내 성장의 기회 뽕뽑기! - 자기계발편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1월 31일 오전 5:1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퇴근길 지하철에서 중년 사내와 20대 후반의 한 젊은이가 필자의 앞에 나란히 앉아 있었다. “자리가 사람을 만드는 법이지.” 중년 사내가 젊은이에게 건네는 말 한마디가 내 귀에 들려왔다. 그 순간 나는 묘한 추억에 빠져들었다.

    ... 더 보기

    [김인수 기자의 사람이니까 경영이다]자리가 무능한 사람을 만든다는데 - 매일경제

    매일경제

    [김인수 기자의 사람이니까 경영이다]자리가 무능한 사람을 만든다는데 - 매일경제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 더 보기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taetaetae.github.io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 

    저장 8 • 조회 1,015


    < 좋은 질문은 틀릴 수 있는 질문이에요 >

    1. 질문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이어야 하고, 그 대답은 ‘틀릴 수 있어야’ 합니다.

    ... 더 보기

    스스로 생각하는 힘

    

    ... 더 보기

    < 레이 달리오의 뇌를 복제한 인공지능의 정체 >

    1

    ... 더 보기

    < 무엇이 사람들을 하나로 뭉치게 하는가? >

    1. 사람들을 하나의 부족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단 두 가지만 있으면 된다. '통의 관심사'와 '소통 방법'이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