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적으로 성장하던 스타트업이 망가지는 꽤나 전형적인 과정> 1. ‘속도의 함정’에 빠지는 스타트업은 일단 매력적인 시장 기회를 찾는데 성공한 회사들이다. 2. 얼리 어답터들은 이 회사의 제품을 사용해보고 (좋아서) 사방에 입소문을 퍼뜨린다. 덕분에 마케팅에 돈을 투자하지 않았는데도 고객이 몰려든다. 3. 그리고 이렇게 짧은 시간에 빠른 속도로 성장을 한 회사는 열정적인 투자자들을 유혹한다. 그리고 투자자들은 이 스타트업의 지분을 사들일 때 지불한 높은 가격을 만회하기 위해 사업 규모를 공격적으로 확장하려고 압력을 가한다. 4. 사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압력을 가할 필요도) 재촉할 필요도 없다. 창업자들 역시 간절히 성장을 원하기 때문이다. 5. 그러나 해당 스타트업이 집중적인 마케팅에 돌입하면, (얼리 어답터로 이뤄진) 초기 목표 시장은 포화의 상태에 이른다. 이 말은 회사가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신규 시장으로 고객층을 확장해야 한다는 뜻이다. 6. 하지만 새롭게 확보한 고객들은 (대체로) 얼리 어답터처럼 이 회사의 가치 제안에 매력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소비 액수도 적고 재구매 확률도 낮다. 따라서 신규 고객이 다른 잠재 고객에게 입소문을 퍼뜨릴 가능성도 그만큼 낮아진다. 7. (그러면) 결국 회사는 성장을 하기 위해, (성장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돈을 마케팅에 지출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러다 보면 고객 한 명을 확보하는 데 들어가는 평균 비용은 계속 증가하게 된다. 8. 동시에 초기에 급속하게 성장한 이 회사를 지켜본 경쟁자들이 너도나도 게임에 참가한다. 싸움터에 뛰어든 회사들은 시장에서 우월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 가격을 내리고 프로모션에 돈을 쏟아붓는다. (=치킨 게임 시작) 9. 그렇게 어느 시점에 도달하면 신규 고객이 회사에 제공하는 가치보다 새롭게 고객을 확보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 더 커지기 시작한다. 그러면 자금이 바닥을 드러내게 되고, 투자자들은 더 많은 자금을 투입하기를 꺼린다. 10. CEO는 이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회사의 행보에 급제동을 걸고, 현금 유출을 막기 위해 성장 속도를 줄이는 한편, 인력도 축소하기 시작한다. - 토머스 아이젠만, <세상 모든 창업가가 묻고 싶은 질문들(Why startups fail)> 중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2월 4일 오전 6:34

댓글 4

함께 읽은 게시물

MCP 모르면 대체 얼마나 손해 보는 걸까?🤔

... 더 보기

MCP 모르면 대체 얼마나 손해 보는 걸까? | 요즘IT

요즘IT

MCP 모르면 대체 얼마나 손해 보는 걸까? | 요즘IT

 • 

저장 23 • 조회 2,184


"배포했으면 스펙이지"

어떤 서비스가 버그를 가진채로 출시되었고, 사용자들이 그 버그를 전제로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면, 그리고 그 위로 너무 많은 새로운 기능들이 쌓여있다면 그건 버그가 아니라 스펙(기능)이라는, 언젠가부터 들었던 업계의 유명한 블랙 유머다.

... 더 보기

💪 모든 경험은 의미가 있다

커리어는 정해진 목표를 향해 뛰는 경주가 아니다. 길을 알려주는 정답 지도가 있는 것도 아니고 찾아야 하는 보물이 있는 것도 아니다. 직업은 생활에 필요한 재원을 만드는 일이고, 커리어는 나에게 맞는 길을 찾아가는 과정이고, 그 인생 과정에서 성장을 하게 된다. 나에게 맞는 커리어를 찾는 과정에는 자연스럽게 시행착오가 따른다. 다른 사람에게 조언을 듣거나 남들이 어떻게 하는지 보고 배울 수도 있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경험해 보고 터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중요한 것은 경험의 겉모습이 아닌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다. ​각 경험의 본질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몇 가지 항목들이다. ​1. 대기업 vs. 스타트업 대기업의 가장 큰 장점은 갖춰진 시스템과 그로 인한 안정감이 아닐까 싶다. 갖춰진 시스템 속에서 세분화된 자신의 전문분야 일을 하게 된다. 시스템 안에서는 전문가로 인정받지만 시스템을 벗어나면 홀로서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마켓 사이즈나 임팩트가 큰 프로젝트에 기여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자신이 그저 ‘직원 1’인 것처럼 느끼기 쉽다. 리스크 관리 시스템이 안정적이라는 장점도 있지만, 이건 누구든 언제라도 교... 더 보기

 • 

댓글 5 • 저장 205 • 조회 6,353


쉬운 길



... 더 보기

클로드 코드 Max 한 달 사용 후기

... 더 보기

클로드 코드 한 달 사용 후기

K리그 프로그래머

클로드 코드 한 달 사용 후기

 • 

댓글 2 • 저장 9 • 조회 2,693


< 매일 아침 헬스장 가기 싫은 당신에게 >

1. 두 선택지가 팽팽히 맞서고 어느 한쪽이 단기적으로 더 고통스럽다면 그 길이 장기적으로 이익일 가능성이 높다. 복리의 법칙에 따라 당신은 장기적인 이익을 선택해야 한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