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거리두기'가 계속되면 재택근무가 가능한 직종과 필수 분야의 사업체를 제외하고 나면 모두 엄청난 타격을 받게 됩니다. 미국의 사례를 보면 이런 에피데믹은 서비스 분야에서의 대량실업을 만들어냅니다. 미국은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비상사태 발령 후 5주 동안 2500만명 이상의 실업이 발생했습니다. 기사에서는 노트북만 있으면 화상회의 등으로 ‘원격 근무가 가능한 노동자’(The Remotes)의 비율이 35%라고 했지만, 한국의 경우 이 숫자는 훨씬 더 적을 것입니다. 그것은 원격 근무 인프라의 부족일 수도 있고 기업 문화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도 앞으로 지속가능한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원격근무를 가능하게 만들어주어야 하고, 노동자 입장에서는 고용의 안정성을 위해서라도 원격근무로의 전환이 필요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원격근무도 어렵고 필수분야 노동자도 아닌 사람은 결국 일자리를 잃게 될 것입니다. 그러니까 생산자와 소비자가 같은 시간과 공간에 있어야 하고 재고를 쌓아둘 수 없이 생산된 순간 사라져 버리는 상품을 다루는 분야에서는 일상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만이 해결방법입니다. 사람과 사람이 만나기 어려워진 시대의 서비스 산업과 리테일의 미래가 어떻게 될 것인지는 모두의 고민이 될 것입니다.

"코로나 시대의 4계급···당신은 어디에 있나"

Khan

"코로나 시대의 4계급···당신은 어디에 있나"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4월 29일 오전 9:5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28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6 • 조회 1,380


    DB 프로시저 싫어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Lambda/Serverless Function 이라고 생각해보십시오! 사실상 Serverless Function이랑 똑같은 것. Serverless Function도 싫어하시면 린정.

    조회 2,292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나는 가끔 조합형 한글의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한다.


    그 아름다움은 단순히 예쁜 글꼴이나 정갈한 종이 위의 자소 배열에서 끝나지 않는다. 진짜 매력은, 정밀한 정보 구조와 이산 수학적 규칙성 속에 숨어 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