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베스트조선
Investchosun
토스가 PG를 인수한다면? 우리나라 핀테크 스타트업의 선두주자인 토스(Toss)가 LG유플러스의 전자결제(PG) 사업부 인수를 두고 나이스그룹과 최종 경쟁 중입니다. 만약 토스가 인수에 성공한다면 간편결제를 넘어 조만간 도입될 '종합지급결제업'에서 단숨에 강자로 올라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여기서 PG가 정확히 뭔지, 인터넷에서 결제는 어떻게 이루어지는데 토스가 PG를 인수하려고 하는 것인지 알아보고 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소비자가 신용카드로 인터넷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면 원래 신용카드회사는 그 돈을 인터넷 쇼핑몰로 바로 보내줘야 합니다. 그리고 소비자는 나중에 한 달에 한 번씩 모아서 신용카드회사에 정산을 해 주는 것인데요. 20년 전 인터넷 쇼핑이 시작되었을 때, 쇼핑몰들은 우리나라에 있는 모든 신용카드회사에 가맹점 등록을 하는 것이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대신 각 신용카드회사의 가맹점으로 미리 등록해 두고 결제를 대행해 주는 회사들이 나오게 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전자지급결제대행(Payment Gateway = PG)회사였습니다. 인터넷 쇼핑몰들은 10개가 넘는 신용카드회사에 모두 가맹점 등록할 필요 없이 PG 하나에만 등록하면 모든 신용카드를 받을 수 있으니 아주 간편했던 것입니다. 그리고 이후 다시 여러 인터넷 쇼핑몰들을 모아 놓은 오픈마켓이 생기면서, 이제 우리나라의 인터넷 쇼핑에서 결제되는 현금의 흐름은 소비자 --> 신용카드회사 --> PG --> 오픈마켓(이커머스 플랫폼) --> 판매자(인터넷 쇼핑몰)와 같이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되었습니다. 간편결제 역시 크게 다르지 않고, 대신 매번 입력해야 하는 비밀번호를 어떤 식으로 간단히 적용할 수 있는지에 따라 방식이 나누어지는 정도입니다. 사실 결제라는 것은 소비자 --> 판매자로 직접 이루어지면 가장 간단한 것인데요, 토스와 같은 송금 서비스를 통하면 기본적으로 이런 방식을 도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판매자가 돈을 받고 물건을 보내지 않는다던지, 소비자가 구매를 취소한다던지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누군가 중간에서 역할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것이 바로 전자금융업자인 결제대행업자(PG)이고, PG 인허가가 없으면 이런 중간자 역할을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토스도 결제업을 하기 위해서는 PG가 필요한 것이지요. 물론 토스가 새로 PG 인허가를 취득해서 결제 서비스를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PG의 고객들, 즉 인터넷 쇼핑몰이나 오픈마켓 등 이미 인터넷 결제를 많이 하고 있는 사업자들을 이미 많이 확보하고 있는 곳을 인수하면 시장 진입 시간 단축에 큰 도움이 되겠죠. 그리고 간편결제나 정부가 내년에 도입할 전망인 종합지급결제업 도전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토스의 계속되는 도전에 응원을 보냅니다.
2019년 9월 11일 오전 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