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들이 크리에이티브 역량을 갖추려면 신경 써야 할 몇 가지> 1. 크리에이티브 측면에서 국내 기업이 처한 가장 시급한 문제는, (바로) 좋은 아이디어나 디자인을 (제대로) 확인해 줄 사람이 그리 많지 않다는 것입니다 2. 국내 디자인 수준과 해외 디자인의 수준은 크리에이티브의 차이보다는, 관리자의 역량에 따른 차이가 더 크게 드러납니다. 3. 요즘은 국내 기업들도 세계적인 디자이너와도 많이 작업을 합니다. 그런데 그들이 국내 기업과 작업한 결과물을 보면 그들의 베스트와는 상당히 차이가 납니다. 4. 이유는 작업 과정에 있습니다. 크리에이티브 디렉팅을 해줄 인력이 국내에는 부족하기 때문에 그런 문제가 생기는 것이죠. 5. 국내 기업이 처한 또 다른 문제는 크리에이티브가 가지는 위험에 대해 필요 이상으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는 겁니다. 6. 창작과 크리에이티브라는 것은 필연적으로 위험 감수의 과정 속에서 탄생합니다. 즉, 크리에이티브하다는 것은 말 그대로 아직 시장에 증명되지 않은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낸다는 뜻입니다. 7. 당연히 안전성과 위험성 그 중간에 위치하죠. 그런데 국내 기업들은 이 안정성과 위험성 사이에서 주로 안정성 위주의 판단을 내립니다. 8. 또한, 국내 기업들은 크리에이티브 전문가들과 협업할 때 지나치게 자사 시스템에 창작자를 맞추려고 합니다. 이 또한 문제입니다. 이 분야에서 이름이 있는 전문가들은 최선의 크리에이티브를 만들기 위해 이미 자신의 노하우와 시스템을 구축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무시하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습니다. 9. 이론적으로 기업이 판매 극대화를 추구한다면, 익숙하고 안전한 것들만 만드는 것이 유리합니다. 굳이 새로운 것을 만들 일유가 없죠.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소비자가 궁극적으로 열광하는 것이 새로움이라는 사실입니다.

[DBR] "크리에이티브는 모험의 산물, 안정과 위험 사이에 길이 있다"

동아비즈니스리뷰

[DBR] "크리에이티브는 모험의 산물, 안정과 위험 사이에 길이 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6월 21일 오후 1:4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32


    간만에 개발 떡밥이(신난다) 이번엔 제가 소수 입장에 있는 ORM이군요. 후후..


    저는 몇몇 사건을 통해 ORM 반대주의자가 된 사람인데요.


    ... 더 보기

    여러분 PostgreSQL 프로시저는 Python, JavaScript은 물론 Perl, Java, Lua 등도 사용할 수 있답니다~* 대부분 구식🤭 MySQL만 쓰셔서 모르시겠지만.. (도망간다)


    나는 가끔 조합형 한글의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한다.


    그 아름다움은 단순히 예쁜 글꼴이나 정갈한 종이 위의 자소 배열에서 끝나지 않는다. 진짜 매력은, 정밀한 정보 구조와 이산 수학적 규칙성 속에 숨어 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