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 manager에서 Product leader로 성장하기 위한 팁> 제가 다니는 Booking.com이나 본 사례에 나오는 회사들(Airbnb, LinkedIn, Dropbox, Uber, Amazon)은 Product 조직의 규모가 크죠. 이에 Product manager들도 APM(Associate)/JPM(Junior PM) → PM → SPM(Senior PM) → GPM(Group PM) → Product director 등 직급 체계가 짜여져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PM/SPM와 같은 실무자급에서 GPM(보통 3~5명의 PM을 매니징하는 단계라고 보시면 됩니다)과 같은 관리자/Producer leader로 성장하기 위해선 기존의 능력과는 성격이 다른 능력을 길러야 한다고 합니다. PM에서 PL(Product Leader)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능력의 transition이 필요합니다. (왼쪽 : PM/SPM에게 필요한 능력 → Product leader에게 필요한 능력) - Depth in one type of product work → Breadth across multiple types of product work - Being good at your job → training others to be good at theirs - Solving with the resources you have → Solving by allocating resources and influencing others - Gaining more personal scope → Creating more scope for the organization 단순히 SPM 에서 GPM으로 승진하기 위한 팁은 아닙니다. Product manager에서 leader로 성장하기 위한 조언이라 생각하고 한 번쯤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Crossing the Canyon: Product Manager to Product Leader - Reforge

Reforge

Crossing the Canyon: Product Manager to Product Leader - Reforge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6월 25일 오전 7:0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의 첫 책 <진짜의 마인드>를 읽었다. ‘삶의 본질에 집중하는 태도에 관하여‘라는 카피에 혹해서. 무엇보다 JTBC 축구 예능 ‘뭉쳐야 찬다’에서 본 그의 유니크한 플레이의 근원이 궁금해서.

    ... 더 보기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가 사는 법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n.news.naver.com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가 사는 법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요즘 '바이브 코딩'이라는 단어 자체가 유행이긴 하구나 싶습니다. 워낙 가타부타 말이 많아서요. 그래서 '근본'의 말을 들어보고 싶었습니다. 바이브 코딩의 창시자 안드레이 카파시는 역시 단순히 그 자체에 집중하기보다 '소프트웨어의 발전사'라는 큰 그림에서 바이브 코딩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떻게 발전해 나가야 할지 보고 있었어요.

    ... 더 보기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 인생을 바꾸는 ‘큰 돌멩이’의 법칙 >

    1. 스티브 잡스는 매일 아침 거울 앞에서 스스로에게 물었다. 오늘이 내 삶의 마지막 날이라면, 지금 이 일을 계속할 거냐고.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1 • 조회 955


    < 저는 책을 끝까지 읽지 않습니다 >

    1

    ... 더 보기

    단순 비교 말고 영감 얻는 벤치마킹 하려면

    "

    ... 더 보기

    카피 아닌 벤치마킹. 뭐가 다를까?

    Brunch Story

    카피 아닌 벤치마킹. 뭐가 다를까?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