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깔때기에 집단창작···美서 차린 ‘소설공장’ 매출 25배 지난주 760억원이라는 거액의 투자유치에 성공한 영문 웹소설 플랫폼 래디쉬 이승윤 대표 인터뷰 기사. 래디쉬가 어떻게 최근에 급성장을 하게 됐는지 알 수 있음. 데이터에 기반해 A/B테스트식으로 독자 반응을 살피고 좋은 반응이 있으면 그 콘텐츠를 빠르게 집단 창작해 생산. *** Q : 데이터는 어떻게 활용하나. A : 연재작을 정할 때 '데이터 깔때기' 공식을 쓴다. 다양한 컨셉 테스트→10회 파일럿 후 대박감이면 빠르게 100~200회 생산→초대박감이면 매일 3~5편씩 연재하는 모델이다. 각 단계마다 클릭률 같은 데이터를 유효한 지표로 본다. 모바일 게임을 만드는 방식과 비슷하다. 1화도 여러 버전으로 만들어서 A/B테스트(대조실험)를 한다.

데이터 깔때기에 집단창작···美서 차린 ‘소설공장’ 매출 25배

naver.me

데이터 깔때기에 집단창작···美서 차린 ‘소설공장’ 매출 25배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7월 20일 오후 10:4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샘 알트만: "지금 당신이 o3보다 더 똑똑하다고 생각하세요?"


    ... 더 보기

    샘 알트만: "지금 당신이 o3보다 더 똑똑하다고 생각하세요?" : 오호츠크 리포트

    55check.com

    샘 알트만: "지금 당신이 o3보다 더 똑똑하다고 생각하세요?" : 오호츠크 리포트

    연하 상사·사장 모시는 50대 중년 임원

    ... 더 보기

    취업 전략

    

    ... 더 보기

    초보 영상 제작자 환영! 교육과정 소개영상 공모전 (~6/9)

    ... 더 보기

    Revi's Blaybus | 블레이버스

    www.blaybus.com

    Revi's Blaybus | 블레이버스

    두 가지 목표가 있다. 어떤 목표가 학습 동기를 높인다고 생각하는가?

    ... 더 보기

    쉽고 재밌기만 한 교육은 독이다

    ㅍㅍㅅㅅ

    쉽고 재밌기만 한 교육은 독이다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18 • 조회 3,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