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 정리🧹: 함수 정리하기

클린 코드 함수 챕터에서 함수를 만드는 두 가지 규칙을 설명하는데 첫째 규칙은 ‘작게 만들어라!’ 이고, 둘째 규칙은 ‘더 작게 만들어라!’ 입니다. 함수는 무조건 작게 만드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얼마나 작게 만드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서는 정해진 룰이 없지만 함수는 15줄 이내, 들여쓰기를 2번 이상 하지 않는 룰이 일반적이긴 합니다. 이러한 규칙을 지키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함수 네이밍과 표현 식에 대한 명확한 의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함수 내 명확한 표현 식을 쓰려면 두 가지 정도를 신경 쓰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함수 네이밍이 명확해야 표현 식이 명확해진다 2️⃣ 함수가 길어지면 표현 식도 역할에 맞게 분리하자 프로그래밍 중에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함수가 커져 버릴 때 점검해 볼 수 있는 것은, ☝️함수 네이밍이 함수가 어떤 동작을 하는지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는지 점검한 후에 ✌️명확하게 바뀐 함수 네이밍에 맞지 않는 동작을 분리하자! 함수의 네이밍이 함수가 명확하게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잘 나타내고 있는지만 점검하더라도 네이밍에 맞지 않는 동작을 분리할 수 있고 네이밍에 맞는 동작만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네이밍이 명확하더라도 함수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분리를 위한 분리를 할 때 오히려 가독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럴 때는, ☝️길어진 함수를 먼저 이해한 후에 ✌️함수 내부 표현 식을 객체 내 변수나 함수로 추출하자!! 길어진 함수 내부 코드가 하나의 동작을 위해서 여러 세부 동작으로 나뉜다면 무작정 세부 동작을 분리하기보다는 먼저 함수를 이해한 후에 세부 동작을 동작이나 상태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함수를 잘 작성하는 방법은 동작의 주체가 가질 책임이 맞는지와 협력을 위해 행동하는 것이 맞는지를 먼저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3월 13일 오전 8:34

 • 

저장 147조회 19,650

댓글 2

함께 읽은 게시물

< 스타트업은 빨리 만드는 것이 아니라 빨리 배우는 것이다 >

1. 린 스타트업은 사람들에게 성과를 다른 방식으로 측정하도록 요구한다.

... 더 보기

< 명상은 내 생각을 책임지지 않는 것이다 >

1. 명상은 마음에서 일어나거나 일어나지 않는 일과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 더 보기

N잡러가 되기 위한 전략



... 더 보기

더터닝포인트는 2010년 말 설립했다. 아모레퍼시픽 시절 함께 일하던 동료와 뜻을 같이하여 독립한 것이다. 초창기 5년간 M&A 자문과 전력 컨설팅에 집중하며 업계 내 입지를 다졌고, 2016년부터 본격적인 투자사로 전환했다. 서대표는 화장품과 뷰티테크 분

... 더 보기

K-Beauty 전문 투자사 더터닝포인트, 글로벌 시장 석권… 스킨천사 인수 비하인드

조선비즈

K-Beauty 전문 투자사 더터닝포인트, 글로벌 시장 석권… 스킨천사 인수 비하인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