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 정리🧹: 함수 정리하기

클린 코드 함수 챕터에서 함수를 만드는 두 가지 규칙을 설명하는데 첫째 규칙은 ‘작게 만들어라!’ 이고, 둘째 규칙은 ‘더 작게 만들어라!’ 입니다. 함수는 무조건 작게 만드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얼마나 작게 만드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서는 정해진 룰이 없지만 함수는 15줄 이내, 들여쓰기를 2번 이상 하지 않는 룰이 일반적이긴 합니다. 이러한 규칙을 지키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함수 네이밍과 표현 식에 대한 명확한 의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함수 내 명확한 표현 식을 쓰려면 두 가지 정도를 신경 쓰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함수 네이밍이 명확해야 표현 식이 명확해진다 2️⃣ 함수가 길어지면 표현 식도 역할에 맞게 분리하자 프로그래밍 중에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함수가 커져 버릴 때 점검해 볼 수 있는 것은, ☝️함수 네이밍이 함수가 어떤 동작을 하는지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는지 점검한 후에 ✌️명확하게 바뀐 함수 네이밍에 맞지 않는 동작을 분리하자! 함수의 네이밍이 함수가 명확하게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잘 나타내고 있는지만 점검하더라도 네이밍에 맞지 않는 동작을 분리할 수 있고 네이밍에 맞는 동작만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네이밍이 명확하더라도 함수는 길어질 수 있습니다. 분리를 위한 분리를 할 때 오히려 가독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럴 때는, ☝️길어진 함수를 먼저 이해한 후에 ✌️함수 내부 표현 식을 객체 내 변수나 함수로 추출하자!! 길어진 함수 내부 코드가 하나의 동작을 위해서 여러 세부 동작으로 나뉜다면 무작정 세부 동작을 분리하기보다는 먼저 함수를 이해한 후에 세부 동작을 동작이나 상태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함수를 잘 작성하는 방법은 동작의 주체가 가질 책임이 맞는지와 협력을 위해 행동하는 것이 맞는지를 먼저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3월 13일 오전 8:34

 • 

저장 147조회 19,651

댓글 2

함께 읽은 게시물


기업 대표들 중에는 “우리는 직원 교육을 할 여유가 없다.”라고 거리낌없이 이야기하는 사람이 있는데, 안타깝게도 이런 생각을 지닌 기업에는 눈에 띄는 인재가 모이기 어렵다. 그러니 교육에 투자해야 한다. 그렇다고 덜컥 큰 돈을 쓰라는 의미는 아니다. 투자한다는 것은 돈을 써서 외부 연수를 시킨다는 의미 말고도, 사내에서 시간과 노력을 들여 교육을 한다는 뜻도 있다.

... 더 보기

[기업성장 컨설팅] 성장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돈 쓰고 도태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무관심

미래를 보는 신문 - 전자신문

[기업성장 컨설팅] 성장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돈 쓰고 도태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무관심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11 • 조회 2,498


< 뇌를 가장 빠르게 바꾸는 3가지 방법 >

1. 뇌를 재설계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 더 보기

우리가 하는 ‘회사 일’은 대부분 사람으로부터 배우게 된다. 그만큼 그 일을 가르쳐 주는 이가 누구인가에 따라 나의 퍼포먼스도 일부 결정된다. 그(녀)가, 나를 키우려는 능력과 자질, 충분한 노력을 하려는 사람인지 아닌지에 따라 나의 실력은 평범해질 수도 혹은 일취월장하여 청출어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 더 보기

[직장생존을 위한 비즈니스] 좋은 ‘사수’에게 발견할 수 있는 5가지 특별함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직장생존을 위한 비즈니스] 좋은 ‘사수’에게 발견할 수 있는 5가지 특별함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 

조회 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