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규칙한 보상이 기대 심리를 높인다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심리학 616 [책, ‘마음의 법칙’] 34 조건 반사 학습 심리학에서 말하는 ‘조건 반사’란 교육 목적으로 누군가 기대되는 행동을 하게 만들고 싶다면 불규칙적인 보상을 강화하는 게 좋다는 이론입니다. 연봉 협상을 할 때 매년 낮은 인상 금액을 제시하다가 어느 해엔 깜짝 놀랄 만큼 높은 인상률로 연봉을 올려주는 것입니다. 그럼 불규칙한 보상으로 기대한 행동이 오래 지속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매년 쥐꼬리만큼 연봉을 올려줬지만 꾸준히 열심히 일하다 보면 언젠가 연봉을 많이 올려주는 해가 있겠지?’ 이렇게 간헐적 보상으로 기대하게 만들면 매년 높은 연봉 인상을 해주지 않아도 구성원이 매년 열심히 일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원래 그런가 보다 하며 연봉 계약서를 받아왔는데 이론을 대입하고 보니 약간 무섭네요. 불규칙한 처벌은 간헐적 보상과 똑같습니다. 아이들이 잘못을 저질렀을 때 따끔하게 혼내지 않고 그냥 넘어가면, 아이들은 마음속으로 그것을 보상으로 여기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잘못된 행동을 계속하고, 더 자주 하게 됩니다. 바람피우는 남자친구를 한 번 봐주면, 남자친구가 회개하여 다시는 바람피우지 않는 것이 아니라 양다리와 세 다리를 넘어 점점 더 다양한 인간관계를 만듭니다. 책에서 말하는 교훈은 보상은 아끼되 처벌은 일관되게 하라고 합니다. 잘못을 눈 감고 넘어가는 일이 없어야 보상도 제대로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죠. 요즘 회사의 일하는 문화 트렌드 가운데 하나가 잘못과 실수를 빠르게 인정하면 나무라지 말고, 수습할 수 있도록 돕자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회사에 막대한 손해를 끼친 구성원에게 어떤 조치를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세요? 회사 제도를 악용한 구성원이 한 번만 봐달라고 인정에 하소연한다면 어떻게 하시겠어요? 저는 용서가 미덕이라고 생각하며 살았는데, 최근에는 온정을 베푸는 것만이 정답은 아니라는 것을 조금씩 느끼고 있습니다. 정해진 규칙을 준수하며 행동하는 것이 당연한데,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라는 조건부 규칙 준수가 괜찮다고 생각하는 문화를 조심해야겠습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6월 28일 오후 10:55

 • 

저장 1조회 1,47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많은 분들이 찾아주시면서 입소문이 났는지 계속 개설 요청이 이어지네요. 지난 3기가 7월 20일경에 끝났는데 개설 요청으로 인해 8월말에 4기를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재무재표를 통해 산업과 시장을 읽고, 기업과 사업모델을 파악하고, 나아가 나의 사업

    ... 더 보기

    [B라운지] 4주만에 재무제표 기초 정복하기 (4기) : PBR

    www.pbr.kr

    [B라운지] 4주만에 재무제표 기초 정복하기 (4기) : PBR

    초중고딩 어렸을 적 과학시간에 석유와 석탄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과정을 배울 때마다 이해가 되지 않아서 그냥 외웠었다. 석유는 공룡을 비롯 동물이 죽어서 만들어지고 석탄은 식물이 죽어서 만들어진다고 배웠는데, 석탄이야 식물이 워낙 많았고 죽으면 자연스럽게 땅에 묻히니 그럴 수도 있겠다 이해가 되었지만, 석유는 아무리 생각해도 말이 안되었다. 동물이 화석이 될 확율이 극도로 낮다는 점을 생각하면 동물이 한꺼번에 같은 장소에서 갑자기 많이 죽어서 결국 석유까지 될 확율은 매장되어 있는 석유량을 볼 때 더 말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배울 때마다 당시 과학선생님들께 이해가 안된다고 질문을 드렸으나 속시원한 답을 들어본 적은 없었다. 그렇게 10대에 그 궁금증을 묻고 지금까지 잊고 살았다. 그러다 우연히 생각나서 찾아보니...


    비행기가 나는 과학적 원리와 마찬가지로 과학자들조차 속 시원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질문 중 하나라고 한다. 많은 학설 중 다수의 과학자와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하나는 바다 미생물 이론인데, 이 이야기는 들으면서 고개가 끄덕여질 정도로 납득이 되더라.

    ... 더 보기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개정 2판

    ... 더 보기

    < 보여서 걷는 게 아니라, 걷다 보니 길 >

    1

    ... 더 보기

    < 혁신의 첫 반응은 '박수'가 아니라 '야유'다 >

    1

    ... 더 보기

    토스 데이터 직군 집중 채용 - 면접만 봐도 100만원!

    ... 더 보기

    토스 DATA·ML 집중채용

    toss.im

    토스 DATA·ML 집중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