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하루는 대부분 읽기 싫은 문장 더미로 가득하다

누군가를 읽게 만들기 위해서는 내용이 아닌 형식에 무게를 주는 편이 훨씬 좋다. 💻스마트 브레비티는 멀티태스킹 시대, 내 글을 타인이 읽고 싶은 마음이 들게끔 하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 축약이라고 전한다. 단순히 불필요한 문장을 걷어내는 것이 아니다. 도발(매력)-리드(각인)-맥락(Why)-깊이(더보기)라는 명확한 가이드 위에서 읽고 싶은 마음이 발생한다. 😼보이지 않는 퀘스트가 존재하는 셈이다. 첫 문장이 도발적이거나 가치를 느끼지 못하면 사람들은 다음 문장으로 넘어가지 않는다. 그리고 그다음, 그다음… 당장 슬랙이나 카톡, 이메일, sns를 살펴보자. 첫 문장부터 이 내용이 왜 중요한지를 만연체로 설명하거나, 고루한 보충부터 나오는 글들이 허다하다. 당신의 선택을 받지 못한 스팸함 글뭉치는 우리가 지양해야할 가장 좋은 레퍼런스다. 첫 번째 퀘스트를 넘긴 글만이 맥락과 깊이를 전달할 자격을 얻는다. 😺사용자 경험 설계에도 스마트 브레비티 개념을 그대로 가져올 수 있다. UX 역시 일상의 규칙을 시각언어(Visual Language)로 번역해 놓은 것이기 때문이다. UX 라이팅은 말할 것도 없다. 모바일 기획을 한다면 뷰포트(스크롤 없이 만나는 첫 화면)에서 승부를 본다는 마음가짐이 반드시 필요한다. 유저는 도발-리드가 매력적이지 않으면 스크롤하지 않는다. 😻전체를 작게 쪼갠 뒤 퍼널별 목적을 뚜렷이 한다. 앱 퍼널 전략 뿐 아니라 일상의 글쓰기에도 오롯이 적용되는 이야기다. 모두가 극도로 주의력이 없는 시대에 살고 있다.ㄷㄴ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7월 7일 오전 4:15

 • 

저장 33조회 1,57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콤플렉스는 고통의 실체》

    ... 더 보기

    나는 종종 생산성을 올리기 위한 각종 개발 툴은 물론, 라이브러리나 소스 코드를 구매하기도 한다.


    소스 코드의 경우 실제로 써먹지 못하는 경우도 상당수 되긴 하지만, 그래도 구성이나 코드를 보면서 배우는게 있기 때문에 학습 비용이라고 생각하고 가끔 구매하는 편이다.


    ... 더 보기

    액터모델을 이용 이벤트소스/클러스터상태관리를 우아하게하기 - 코틀린


    ... 더 보기

    kopring-reactive-labs/AgenticCoding/Projects/PERSIST_DURABLE_CLUSTER at main · psmon/kopring-reactive-labs

    GitHub

    kopring-reactive-labs/AgenticCoding/Projects/PERSIST_DURABLE_CLUSTER at main · psmon/kopring-reactive-la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