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라이팅 어떻게 써야할까요?

✍ 기획자의 글쓰기 시리즈 [📝 UX 라이팅 어떻게 써야할까요?] (👀 간단 요약) 📌 모바일 앱에서 텍스트는 몇 % 나 차지하고 있을까 ✓ 인터콤에 따르면, 앱스토어 내 인기 앱 25개를 분석했을 때 앱 안에 들어가는 텍스트는 평균 36% ✓ Strava, Google Maps, Uber 같은 지도 및 운송 서비스와 ✓ Paypal, Revolut 등의 핀테크 서비스의 경우 인터페이스의 40% 이상을 텍스트가 차지 ✓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배민/토스에 텍스트가 사라진다면 어떨까? ✓ 텍스트는 서비스와 사용자 간의 인터랙션에 있어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명심해야 📌 무조건 쉬운 단어만을 사용하는 것은 옳지 않아요. ✓ 사용자 관점에서 이해하기 쉽게 작성하는 것이 핵심 ✓ 서비스가 타깃 하는 직군이 간호사나 의사라면, 그 사람들이 업무에서 자주 언급하는 단어를 사용 ✓ 그 외 직군 사람들이 봤을 때 외계어 같은 단어일지라도! ✓ 반대로 병원 방문객 중 불특정 다수를 위한 서비스라면, 아이부터 노인까지 모두 이해할 수 있는 표현을 선택해야 📌 피해야하는 다크패턴 ✓ '이해하기 어렵게' 작성해서 비즈니스에 득이 되는 방향으로 사용자 선택을 유도하는 다크 패턴 역시 존재 ✓ 부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모든 단어를 긍정적인 문구로 위장 ✓ 부정적인 것을 피해 가기 위해 친숙한 제목 사용 ✓ 본래의 목적을 숨기기 위한 비문 사용 ✓ 재검토를 유도하는 버튼 텍스트 ✓ 전문 용어 장벽 📌 부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모든 단어를 긍정적인 문구로 위장 ✓ Facebook과 같은 소셜 미디어 웹 사이트에서 너무나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다크 패턴 ✓ SNS는 광고 상품을 위해 사용자의 검색 등 활동 테이터를 추적하기 위해 사용자 동의를 받아야 ✓ 페이스북은 부드럽지만 모호한 대안을 위해 '추적' 대신 ‘개인화 광고’로 표현 ✓ 사용자의 입장에서 부정적으로 와닿는 단어를 한번 꼬아 이해하기 어렵게 만듦으로써 혼란을 주는 것 📌 부정적인 것을 피해 가기 위해 친숙한 제목 사용 ✓ 미디엄 - 계정 업그레이드를 요청하는 모달 ✓ 모달 헤더 - "당신 정말 많이 읽었네요. 정말 좋아요. (You read a lot. We like that.)" ✓ 미디엄의 헤더를 읽은 누구도 그것이 실제로 무슨 의도를 전달하려는지 확신하지 못할 것 📌 본래의 목적을 숨기기 위한 비문 사용 ✓ A 상품을 신청하지 않으신다면, 체크박스를 선택하지 마세요 ✓ 이중 부정은 사용자를 지독히도 헷갈리게 만드는 문장 ✓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위해 이중 부정적 진술은 피해야 📌 어떻게 하면 마이크로 카피를 이해하기 쉽게 작성할 수 있을까 ✓ 행동과 가깝게 배치된 마이크로 카피는 서비스 플로우에 맞추어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 ✓ UX 라이터는 사용자의 시나리오와 여정을 자세히 파악하여 맥락에 맞는 글을 전달해야 ✓ 콘텐츠 맵핑 방법, 웹 플로우 맵핑 방법을 아이데이션 도구로서 사용 가능 ✓ 어떤 정보를 제공해줘야 할지 작성하는 방법으로, 맥락에 맞는 대화형 UX 라이팅을 작성하는 데 효과적 ✓ 맵핑하는 작업까지 필요 없다면 각 라이팅이 갖는 역할(목적)을 고려해 작성 ✓ 라이팅은 사용자 행동 이전 동기 부여를 하고, 사용자 행동에 동반되는 지침을 전달 ✓ 또 사용자 행동 이후의 피드백을 줌으로써 혼란을 막음 📌 행동 이전의 동기부여 ✓ 타이틀, 디스크립션, 레이블, 인터랙티브 텍스트 ✓ 유저가 취해야 할 액션 혹은 콘텐츠의 맥락을 명확하게 제공하는 것이 중요 ✓ 다음 단계를 명확히 하는 UX 라이팅(버튼을 눌렀을 때 어떤 일이 발생할지 명확하게 인지)이 행동 이전 동기 부여를 위한 좋은 글 ✓ 수행할 일보다 얻게 될 가치에 초점 맞추는 것도 좋은 동기 부여 방법 중 하나 ✓ 이때 동작 동사를 통해 혜택 보여주는 것도 방법인데 동작 동사는 서비스로부터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정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 ✓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치가 무엇인지 이해하도록 돕고 그 가치를 스스로 경험할 수 있도록 가치를 보여줘야 📌 행동에 동반되는 지침 ✓ 조작(Control), 텍스트 입력 필드(Text input field) ✓ 텍스트 입력 필드(Text input field)는 행동에 동반되는 대표적인 지침 ✓ 사용자가 정확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돕는 것이 목적 ✓ 어떤 정보가 올바른 형태인지에 대한 힌트를 쓰고, 입력되어야 하는 정보명, 입력되어야 하는 정보의 사례, 정보를 입력하도록 요구 ✓ 사용자가 어떻게 하면 성공할 수 있을지를 짧고 명확하며, 경험의 맥락을 끊지 않고 전달해야 ✓ 팝업, 스낵바 등을 통해 사용자의 주의를 진행 중인 경험보다 해당 에러에 집중시키고, 해결 방법을 제시 📌 행동 이후의 피드백 ✓ 확정 메시지, 알림, 에러, 공백 상태, 전환 텍스트 ✓ 확인 페이지에서 완료까지 로딩이 길다면, 로딩 시 현재 진행형 동사로 실시간으로 진행 상황을 알려줘야 ✓ 기다리는 시간이 비교적 짧다는 사실을 알려 유저가 조바심을 느끼지 않도록 도와야 하기 때문 ✓ 만약 오류가 발생했다면, 사용자 이탈로 이어질 확률이 크기 때문에 섬세한 라이팅이 필수 ✓ "X를 하기 위해서는, Y를 해보세요."같이 해결책을 이해하기 쉽게 제시해 주거나, 상황을 안전하게 복구시킬 수 있는 액션을 버튼으로 제공해야 ✓ 사용자가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자세한 설명이 있는 링크를 더하거나, 흥미 있어할 만한 다른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 결론 ✓ 고객이 자주 사용하는 단어, 표현은 무엇인지 살펴보자. ✓ confirm-shaming을 유도하진 않는지 / 비문은 아닌지 / 헷갈리는 부분은 없는지 등을 살펴보자. ✓ 고객이 원하는 가치 / 겪고 있는 문제 / 궁금해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살펴보자. ✓ 각 UX 패턴에 맞추어 적합한 위치에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잘 갖추고 있는지 살펴보자.

[UX Writing] Q: UX 라이팅 어떻게 써야할까요? A: 두가지로 요약해드립니다. - ❶편. 이해하기 쉽게 쓰기

Voyage: 트라의 여정

[UX Writing] Q: UX 라이팅 어떻게 써야할까요? A: 두가지로 요약해드립니다. - ❶편. 이해하기 쉽게 쓰기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8월 22일 오전 4:06

 • 

저장 9조회 1,18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MCP 모르면 대체 얼마나 손해 보는 걸까?🤔

    ... 더 보기

    MCP 모르면 대체 얼마나 손해 보는 걸까? | 요즘IT

    요즘IT

    MCP 모르면 대체 얼마나 손해 보는 걸까? | 요즘IT

     • 

    저장 23 • 조회 2,181


    쉬운 길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