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 한 번 해보려고 : 도커 볼륨

도커 컨테이너에서 생성된 데이터들은 컨테이너가 삭제되면 함께 사라집니다. 간혹 컨테이너 생명주기와 관계없이 데이터를 보존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는 여러 개의 컨테이너가 하나의 저장소를 공유받아 데이터를 읽거나 사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도커에서는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볼륨과 마운트. 이 두가지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볼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겠습니다. 도커 볼륨은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고 컨테이너에 공유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소로 호스트 머신에 있는 일종의 폴더입니다. 도커 볼륨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데이터 지속성 : 컨테이너가 삭제되더라도 볼륨에 저장된 데이터는 유지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가 안전하게 보호되며 필요한 경우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공유 데이터 : 여러 컨테이너가 동일한 볼륨을 마운트하여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컨테이너 간의 데이터 공유 및 협업이 용이해집니다. 3. 호스트와의 별도 : 도커 볼륨은 호스트의 파일 시스템과 독립적입니다. 이를 통해 컨테이너와 호스트 간의 파일 시스템 충돌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도커 한 번 해보려고" 시리즈, 세 번째 블로그 글로 도커 볼륨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 https://blog.naver.com/gi_balja/223153540874

도커 볼륨 (Docker Volume) : 네이버 블로그

blog.naver.com

도커 볼륨 (Docker Volume) : 네이버 블로그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7월 15일 오전 2:0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길은 잃은 이력서

    

    ... 더 보기

     • 

    저장 7 • 조회 803



    전문가의 태도를 배울 수 있는 강의

    ... 더 보기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 더 보기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taetaetae.github.io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 

    저장 22 • 조회 1,873


    자바스크립트는 왜 프로토타입을 선택했을까

    객체지향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대표적으로는 클래스가 있습니다. 그런데 자바스크립트는 왜 클래스가 아닌 프로토타입으로 객체지향을 구현하였을까요? 자바스크립트는 왜 다른 언어에는 흔하지 않는 개념인 호이스팅, this, 실행컨텐스트 같은것들이 있을까요? 링크된 글에는 왜 자바스크립트가 프로토타입을 선택했는지, 호이스팅 및 this 같은 개념들이 있는지 철학적인 이유와 함께 비교적 명쾌하게 알려줍니다. 꽤 재미있는 내용이고 유명한 아티클 이니 아직 안보신분들은 한번씩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자바스크립트는 왜 프로토타입을 선택했을까

    Medium

    자바스크립트는 왜 프로토타입을 선택했을까

     • 

    저장 68 • 조회 2,791


    "배포했으면 스펙이지"

    어떤 서비스가 버그를 가진채로 출시되었고, 사용자들이 그 버그를 전제로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면, 그리고 그 위로 너무 많은 새로운 기능들이 쌓여있다면 그건 버그가 아니라 스펙(기능)이라는, 언젠가부터 들었던 업계의 유명한 블랙 유머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