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어드바이저 시장이 정체한 가운데 퇴직연금 시장이 돌파구가 될 것인가?
코스콤에 따르면 7월 말 1조 9425억 원 수준이던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 등록 운용자산(AUM) 규모는 8월 5162억 원으로 73% 이상 급감. 계약자 수도 같은 기간 37만 7126명에서 29만 9154명으로 크게 줄었음.
테마주 중심의 직접 투자가 대세인 국내 주식시장에서 AI가 더 나은 수익률을 내기가 쉽지 않음. 코스콤이 집계한 로보어드바이저 알고리즘 연간 수익률은 4.49%.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통한 퇴직연금 맞춤 포트폴리오 제시는 가능했지만, 매수·매도·리밸런싱 등을 실시하는 일임 서비스는 불가능. 내년 6월부터 퇴직연금 자산을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로보어드바이저 알고리즘으로도 관리할 수 있게 됨
님만 오면 고였던 시장인데, 님이 와버렸다. 파운트, 두물머리, AIM이 자본시장에서 다시 한번 주목을 받게 될까?
https://m.sedaily.com/NewsView/29UOYGMOK1#cb
F-Lab 에서 주니어 개발자들이(사실 개발자라면 누구나) 보시면 좋을 아티클 모음을 공유해 주었네요!
검색엔진부터 비동기 처리, NoSQL 등 다양한 분야의 아티클들이 공유되어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보시면 좋겠습니다.
F-Lab 에서 공유해주신 아티클 주제를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구글이 직접 말하는 검색엔진의 원리 (tali.kr)
📌 검색 엔진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xo.dev)
📌 네이버의 검색엔진의 특징과 알고리즘 (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네이버 검색의 원리 : 네이버 블...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