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가지 마이크로서비스 패턴

🛣️ API 게이트웨이 (API Gateway) 클라이언트와 마이크로서비스 간의 중개자 역할을 하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적절한 마이크로서비스로 라우팅합니다. 🔍서비스 발견 (Service Discovery) 동적으로 서비스 인스턴스를 찾고 등록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서비스의 위치를 자동으로 식별합니다. ⚡ 회로 차단기 (Circuit Breaker) 실패한 서비스 호출을 신속하게 탐지하고,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합니다. ⚖️ 로드 밸런싱 (Load Balancing) 서비스 인스턴스 간에 트래픽을 균등하게 분산하여, 성능을 최적화하고 오버로드를 방지합니다. 🚢 격벽 (Bulkhead) 시스템의 일부분이 실패할 때 전체 시스템의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서비스를 격리시킵니다. 📜 CQRS (Command Query Responsibility Segregation) 명령과 쿼리를 분리하여, 시스템의 복잡성을 관리하고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Event-Driven Architecture) 서비스 간의 비동기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시스템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킵니다. 📖 사가 (Saga) 긴 트랜잭션을 관리하고,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분산 트랜잭션을 조정합니다. 🔁 재시도 (Retry) 일시적인 실패를 극복하기 위해, 실패한 작업을 자동으로 재시도합니다. 🖼 백엔드 for 프론트엔드 (Backend for Frontend, BFF)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간의 통신을 단순화하고, 프론트엔드의 요구에 맞게 백엔드를 구성합니다. 🚗 사이드카 (Sidecar) 마이크로서비스의 기능을 확장하고, 공통의 크로스 커팅 관심사를 처리합니다. 🪢 교살자 패턴 (Strangler Pattern) 기존 시스템을 점진적으로 대체하고, 새로운 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합니다. https://medium.com/gitconnected/12-microservices-pattern-i-wish-i-knew-before-the-system-design-interview-5c35919f16a2

12 Microservices Patterns I Wish I Knew Before the System Design Interview

Medium

12 Microservices Patterns I Wish I Knew Before the System Design Interview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9월 25일 오전 1:29

 • 

저장 39조회 2,28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에서 주니어 개발자들이(사실 개발자라면 누구나) 보시면 좋을 아티클 모음을 공유해 주었네요! 검색엔진부터 비동기 처리, NoSQL 등 다양한 분야의 아티클들이 공유되어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보시면 좋겠습니다. F-Lab 에서 공유해주신 아티클 주제를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구글이 직접 말하는 검색엔진의 원리 (tali.kr) 📌 검색 엔진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xo.dev) 📌 네이버의 검색엔진의 특징과 알고리즘 (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네이버 검색의 원리 : 네이버 블... 더 보기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 

    저장 142 • 조회 3,856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24 • 조회 4,260


    🤔 API 키와 토큰의 차이

    ... 더 보기

    API keys vs tokens - what's the difference?

    Medium

    API keys vs tokens - what's the difference?

     • 

    저장 313 • 조회 9,893


    리더. 국어사전을 보면 조직이나 단체에서 전체를 이끌어가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지식백과사전에는 어떤 조직이나 단체에서 목표의 달성이나 방향에 따라 이끌어 가는 중심적인 위치에 있는 사람, 구성원들에 대한 결정의 책임을 지고 또한 집단 외부와의 조정 기능의 역할도 하는 사람이라고 되어 있다.

    ... 더 보기

    [시사뉴스] 【박성태 칼럼】 리더가 독재를 하게 되는 두가지 이유

    www.sisa-news.com

    [시사뉴스] 【박성태 칼럼】 리더가 독재를 하게 되는 두가지 이유

    이력서에서 소프트스킬을 어떻게 보여줄 수 있을까요?

    ... 더 보기

    LinkedIn Seulki Kang 페이지: 소프트스킬이 드러나는 이력서, 데이터분석가 도메인 분야

    www.linkedin.com

    LinkedIn Seulki Kang 페이지: 소프트스킬이 드러나는 이력서, 데이터분석가 도메인 분야

     • 

    저장 48 • 조회 5,905


    스몰 데이터(Pandas)에서 빅 데이터(Spark)로!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29 • 조회 3,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