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신의 주장은 팩트인가 추측인가? 기타 제조 회사에서 온라인 기타 레슨 플랫폼으로 발돋움 하면서 코로나19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고공행진 하고 있는 ‘펜더’ 펜더는 코로나 사태 3개월간 80만명의 신규 유료 앱 고객을 유치하면서 3월 사용자수 15만명에서 6월 93만명으로 사용자수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이 과정에서 돋보였던 것은 펜더의 비즈니스 모델 전환 과정에 있다. 새로 부임한 앤디 무니 CEO는 고객 분석을 다시 하였고 그 과정에서 기타 업계의 고정관념을 깨는 팩트가 나왔다. 남성들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했던 기타는 새로운 고객의 50%가 여성이었으며, 주 고객은 뮤지션이라고 생각했지만 뮤지션은 전체 고객의 10%였다. 한번 기타를 사면 평생 고객이 될 거라 생각했지만 90%이상의 고객은 3개월 이내에 포기했고, 고객의 대부분이 재구매 고객이라 생각했지만 구매 고객의 45%가 첫 구매였다. 펜더는 이를 토대로 ‘초보와 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이 기타를 쉽게 배워, 평생 취미로 즐길 수 있게’하는 전략을 내세웠다. 기존 기타 업계였다면 실행되지 않았을 전략들, 당신의 주장은 업계의 고정관념을 토대로 한 가설인가, 팩트인가?

기타 제조사를 넘어 기타 교육회사가 된 펜더

Ttimes

기타 제조사를 넘어 기타 교육회사가 된 펜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9월 9일 오후 12:5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달레의 찐팬이 되어주실래요? 💕

    ... 더 보기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4,988


    이력서에 쓰는 경험

    

    ... 더 보기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