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dow DOM 크롤링 가이드: 웹의 은밀한 요소 해부 | Hashscraper-Blogㅣ해시스크래퍼 블로그
Hashscraper
iframe과 같이, 웹 페이지 내부에 독립된 영역을 구축하는 기술, Shadow DOM.
Shadow 라는 명칭처럼 내부의 웹 요소를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웹 요소를 보호하고 독립적으로 유지시켜주는 기술입니다.
하지만, 데이터를 수집하려는 입장에서는 골치아프기 그지 없는데요, 본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Shadow DOM으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이론과 예제를 수록했습니다.
POST INDEX
Shadow DOM 이란?
Shadow DOM과 iframe의 차이
Shadow DOM 크롤링 방법
결론 : Shadow DOM 크롤링을 잘 활용하여 숨겨진 데이터를 획득하자.
https://blog.hashscraper.com/hidden-web-elements-shadow-dom-crawling/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0월 31일 오전 1:14
보
... 더 보기Product Designer 그리고 Frontend(RN App) 혹은 Backend Engineer(Python/TS)를 곧 모셔야할 듯.. 요즘은 어디로 가야 좋은 분들을 만날 수 있으려나요. 디자인과 개발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경력자가 아니어도 괜찮은데..
이번 구글 I/O, 구글 여러분들 행사전에 입이 근질근질하셨겠네요. ㅎㅎ
내용은 다들 소개하셨으니 한줄평하자면, 구글이 처음으로 OpenAI에 비해 반발짝정도 앞서나간 이벤트인 것 같습니다.
더불어 출시한 모델과 서비스들을 보니.. 역시 AI는 돈빨이며 구글이 돈빨을 제대로 세웠.. 쿨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