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 결정은 늘 두렵다. ‘한 번 더’의 유혹에 빠지지 마라 >

1

이제 의사결정할 준비는 모두 끝났다. 명세서들을 신중히 생각했고, 여러 대안도 검토했으며, 위험과 이익도 측정했다. 


 

2

관련된 모든 것을 알게 되었다. 실제로 이 정도면 어떤 방향으로 행동해야 할지 명백해진다. 이쯤 되면 의사결정은 거의 '저절로 이루어 진다.'


 

3

그러나 대부분의 의사결정이 실종하는 순간도 이때다. 갑자기 의사결정이 잘못될 것 같고 다른 사람들에게 환영받지 못하면 쉽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4

이처럼 의사결정은 판단력을 요구하는 만큼이나 용기도 필요하다. 약은 왜 꼭 쓴맛이 나는지 필연적인 이유는 없다. 어쨌든 양약은 대체로 쓰다. 


 

5

마찬가지로 왜 의사결정은 항상 불쾌감을 주는지 필연적인 이유는 없다. 목표를 달성하는 의사결정은 대부분 불쾌감을 준다.


 

6

이 시점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경영자가 해서는 안 될 것이 하나 있다. '한 번 더 검토해보자'라는 유혹에 빠져서는 안 된다. 비겁한 방법이다. 용감한 사람은 한 번 죽지만 겁쟁이는 백 번도 더 죽는다.


 

7

'한 번 더' 검토해보자는 요구에 대해 목표를 달성하는 경영자는 다음과 같이 질문한다. '한 번 더 검토하면 뭔가 새로운 것이 나오리라고 믿을 만한 이유가 있는가? 또 그 새로운 것이 적절 하다고 믿을 만한 이유가 있는가?' 


 

8

만약 대답이 'No'라면(대개 그렇게 대답한다.) 목표를 달성하는 의사결정자는 다시 한 번 검토해서는 안 된다. 자신의 결단력 부족을 감추기 위해 인재들의 시간을 낭비해서는 안 된다.


 

#자기경영노트 #피터드러커 

#하루한문장📚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12일 오전 1:1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왜 사람들은 과거를 계속 반복할까? >

    1. 미래는 대개 과거를 되풀이하게 마련입니다. 피상적인 변화는 가능하지만, 진정한 변화는 드뭅니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5 • 조회 992


    누구나 특정 회사에 들어서는 순간 느끼는 회사마다의 분위기가 있다. 가정도 마찬가지이다. 분위기가 엄해보이는 집, 까불까불한 집, 대화는 없어도 화목해보이는 집.

    ... 더 보기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사례뉴스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 '네이버 다녀요'라는 말에 아무도 무슨 일을 하는지는 묻지 않았다 >

    1

    ... 더 보기

    이직의 조건

    

    ... 더 보기

    < '모든 것을 받아들이기'의 진짜 의미 >

    1.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으면 현재를 살게 된다.

    ... 더 보기

    간만에 공개 발표를.. 이번 주 토요일,

    ... 더 보기

    Build with AI 2025 Seoul - 이벤터스

    event-us.kr

    Build with AI 2025 Seoul - 이벤터스

    조회 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