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자본 쌓기

새로운 조직에 합류했을 때, 기존 구성원들의 업무 프로세스가 비효율적으로 느껴져 변화를 추구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제가 경험한 바로는, 비효율적인 프로세스를 개선하려고 주장하다가 동료들의 반감을 산 경우도 있었습니다. 물론 기존 구성원들이 더 효율적인 방법을 모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신규 입사자가 섣불리 주장을 펼치면 대개 반대에 부딪히게 됩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신뢰자본입니다. 팀에 필요한 일을 찾아서 하고,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작고 사소한 문제부터 차근차근 해결하는 데 에너지를 쏟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빌드 시간이 오래 걸려 배포가 지연된다는 우려를 점심시간에 듣거나, 장애 발생 후 야근을 해야 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도움을 주는 것은 동료들에게 신뢰자본을 쌓는 좋은 방법입니다.


상상해 보세요. 새로운 용병이 합류해 이것저것 바꾸라고 지시하는 것보다, 어려운 문제를 해결해 주는 용병이 더 호감을 얻을 것입니다.


새로운 조직에서는 자신을 돋보이게 하려는 것보다는 현재 팀이 직면한 문제에 집중하여 해결하는 것이 훨씬 신뢰자본을 쌓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13일 오후 11:08

 • 

저장 3조회 1,96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혹시 Claude 나 cursor 등 AI 로 개발하실 때
    뭔가 AI 스러운 뻔한 디자인 때문에

    ... 더 보기

    LinkedIn

    www.linkedin.com

    LinkedIn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 더 보기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taetaetae.github.io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 

    저장 27 • 조회 4,796


    넷플릭스는 왜 WebFlux를 사용하지 않을까?

    ... 더 보기

    넷플릭스는 왜 WebFlux를 사용하지 않을까?

    kr.linkedin.com

    넷플릭스는 왜 WebFlux를 사용하지 않을까?

    나는 종종 생산성을 올리기 위한 각종 개발 툴은 물론, 라이브러리나 소스 코드를 구매하기도 한다.


    소스 코드의 경우 실제로 써먹지 못하는 경우도 상당수 되긴 하지만, 그래도 구성이나 코드를 보면서 배우는게 있기 때문에 학습 비용이라고 생각하고 가끔 구매하는 편이다.


    ... 더 보기

    진짜 1인 개발자 전성시대

    1

    ... 더 보기

    진짜 1인 개발자 전성시대

    K리그 프로그래머

    진짜 1인 개발자 전성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