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가 없을 때 200인가 404인가?
Medium
요기요 블로그에 포스팅된 유익한 글이 있어서 가져왔어요.
짧은 글을 통해 상태 코드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어서 좋은 자료입니다. 뿐만 아니라 관점의 차이를 생각해볼 수 도 있는 좋은 경험담이기도 하네요!
-
같은 404이지만 해석의 차이가 있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브라우저 : “잘못된 경로로 접근하였다”
서버 : “리소스를 찾을 수 없다”
다시 MDN을 생각해 보면, 404 Not Found는 서버가 요청받은 리소스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해당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우리가 자주 접하는 404 Not Found 페이지도 요청한 페이지가 없을 때 보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올바른 경로로 호출을 했으나 데이터가 없을 때는 200응답과 함께 빈 값 혹은 약속된 코드를 반환하여 클라이언트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 맞는 방향이라 생각하고 앞으로 통일해 나갈 생각입니다.
https://techblog.yogiyo.co.kr/데이터가-없을-때-200인가-404인가-f1c8c39ca9df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2월 1일 오전 3:55
R
프론트엔드에서 '설계'라고 하면 주로 이런 것들이 논의된다.
지
... 더 보기어제 출시된 따끈따끈한 ChatGPT Codex를 실제 프로젝트 레포에 써 보았습니다.
테스트가 있으면 스스로 테스트도 실행하고, 만든거 스스로 실행해보면서 버그도 수정하고 하는게 기특하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