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ift 컴파일러의 타입 추론 파헤치기 (feat. 왜 이렇게 컴파일이 오래 걸릴까?)
iOYES
글쓰기가 어려운 분들을 위한 팁 2탄! PAS 프레임워크
* 문제(Problem)를 정의하고
* 해결책(Action)을 제시한 뒤
* 결과(Solution)로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설명합니다
PAS 프레임워크에 관해 설명하고 예문도 작성해보겠습니다
문제
* 독자가 직면한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
프로그래밍은 문제 정의, 솔루션 제시, 코드 작성의 세 가지 요소로 이뤄지는데, 이 중 하나라도 어려워지면 전체적으로 학습이 어렵게 느껴집니다
해결책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취해야 할 조치를 제시
다행히 ChatGPT같은 생성AI를 활용하면 코드 작성은 조금 쉽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저는 Rust를 한번도 써본적 없지만 ChatGPT와함께 2시간 만에 도구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결과
* 조치를 취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설명
ChatGPT를 이용하면 학습 과정에서 받는 피드백이 빨라져서 더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3월 8일 오전 4:29
내용 정정이 필요할거 같애요 올려주신 이미지대로 A는 action이 아니라 agitation으로 동요시키는걸 말합니다 P프라블럼을 짚어주고 A문제에 자세히 들어가서 당신이 알고있지 못한 문제의 심각성 해결의 시급성(지금!)등으로 동요시켜서 S솔루션을 제안하는 겁니다 A때문에 S에 대한 감정적 이성적 설득력이 높아지겠죠
S
... 더 보기바이브 코딩을 여러가지 카테고리에 적용해보고 있는데, 머신러닝쪽은 압도적으로 좋네요. 진짜 코드를 안 봐도 될 정도임.
심지어 머신러닝 연구 작업 특성상 코드를 안봐도 되니까 실험하는게 겁나 재밌어짐. 미쳤음. GPU 무한대로 준다는 말에 혹한다는 것이 완전 이해가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