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경영지원본부 칼럼] 리더의 말 한마디
n.news.naver.com
평소 원리원칙을 몸소 실천하며 조직과 중대원에게 강하게 실천하도록 하는 중대장이 있다. 중대장이 휴가 나가는 병사들의 두발 상태를 직접 점검하고 머리가 길면 짧게 깎고 휴가를 허용한다. 중대원들은 힘들지만, 원칙을 강조하고 실천하는 중대장의 말에 따랐다.
하루는 중대장이 병사들의 안일한 모습을 보고, 취침 시간을 제외하고 완전 군장으로 생활하도록 지시했다.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잘못한 병사들 뿐 아니라 전 중대원에게 같은 불이익에 불만이 크다. 중대장은 이러한 불만을 무시하고 강행하던 중, 연대장이 갑자기 왔다는 말에 완전군장을 풀라고 말했지만, 지시에 따르는 병사는 없다. 드리마 <신병>의 내용이다.
전쟁 중 언덕을 점령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소대장이 소대원에게 “돌격 앞으로“를 외쳤을 때, 과연 참호 안을 벗어나 총알과 폭탄이 소나기처럼 퍼붓는 언덕을 향해 뛰겠는가? 단 한 명의 병사도 움직이지 않는다면 이유는 무엇이겠는가? 어떻게 하면 조직장의 말 한마디에 일사분란하게 움직이는 조직을 만들 수 있겠는가?
위기의 순간, 강한 조직은 빛을 발한다. 힘들고 어려운 순간, 조직 구성원이 한 마음이 되어 한 방향으로 실천하며 성과를 창출해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조직의 특징은 무엇인가? 반대의 경우, 위기의 상황에 주눅이 들어 평소 역량을 발휘하지도 못하고, 위기 속에 함몰되어 망하는 조직도 있다. 이 가운데 리더가 있다.
조직과 구성원으로부터 인정받는 뛰어난 리더들이 있다. 이들은 1️⃣변화의 방향을 읽고, 선제적으로 방향에 앞서는 모습, 전략, 중점과제를 도출하여 조직과 구성원에게 지시를 내려 대비한다.
2️⃣올바른 의사결정을 신속하게 하며, 결정 사항에 대해서는 책임을 진다. 구성원이 조직장을 인정하고 존경하는 이유는 그가 내린 의사결정이 옳기 때문이다.
3️⃣정도 경영, 솔선수범, 악착 같은 실행으로 모범을 보인다. 조직장이 바라는 직원의 모습은 자발적이며 주도적으로 일을 추진하여 성과를 내는 경우이다. 하지만, 직원들이 원하는 조직장은 말과 행동의 일치를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한다.
4️⃣조직과 구성원을 강하게 육성하고 항상 일에 대한 자부심과 성장을 꿈꾸며 실천하게 한다. 자신이 한 일의 결과를 기록하여 활용하고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게 한다.
5️⃣내/외부 관계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폭 넓은 교류를 통한 이미지 제고를 하게 한다.
구성원들은 자신의 마음 속에 간직된 롤모델 같은 상사의 말에 의미를 부여하고 어떠한 어려움이 있어도 따른다. 상사가 겉과 속, 말과 행동이 다르며, 자신이 정한 약속을 자신만 지키지 않으며, 윗사람에게는 “예예” 고개 숙이기만 하고, 아랫사람에게는 폭언과 무례한 행동을 한다면 누가 그 지시에 따르겠는가?
조직장은 모범을 보여야 한다. 모범이 되지 않는 상사의 지시에 따르지 않는 것은, 따르지 않는 직원만 탓할 것이 아니라 모범을 보이지 못하는 상사에 대한 조치가 먼저이다.
리더의 말 한마디에는 많은 고민이 담겨 있어야 한다. 사업 전체를 바라보는 혜안, 조직과 구성원의 성장과 성과, 얻고자 하는 분명한 내용, 말로 끝나는 것이 아닌 실행으로 이어지길 바라는 의지, 해야만 한다는 생각이 들도록 무게가 있어야 한다.
의사결정을 못하면서 존경받는 리더는 없다. 리더의 말 한마디는 얻고자 하는 바가 있고 직원들이 미처 생각하지 못한 성찰이 있어야 한다. ‘역시 다르다’는 생각이 들도록 신중하면서도 올바른 결정이 말로 표현되어야 한다.
알아듣지 못하는 우물쭈물 거리는 말이 아닌 분명하고 간결해야 한다. 무엇보다 리더의 직원들에게 한 없이 자상한 모습과 따뜻한 마음이 조직과 구성원에게 표현되어 내재화 되어 있어야 한다. 리더의 말에는 품격이 있어야 한다.
✳️1단계 품격은 기본이다. 리더는 ①못한다, 안한다 ②비교 갈등 ③뒷담화 ④상처 주는 말을 해서는 안된다. 말의 기본 품격이다.
✳️2단계 품격은 무게감이다. 리더의 말에는 고민의 흔적이 담겨 있어야 한다. 고민과 성찰 속 결정은 단호하면서도 명확해야 한다. 개인과 속한 조직이 아닌 전사적 관점의 결정이어야 한다.
✳️3단계 품격은 감동이다. 사람에 대한 애정이 관심과 진정성으로 개개인에게 적극 표현되어 감동을 주어야 한다. 개개인의 마음 속에 간직 되지 못하는 리더는 자신의 소통 역량에 대해 심각한 고민과 개선이 요구된다.
리더 혼자 일할 수 없다. 함께 일해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리더의 소통 역량은 필수적이다. 조직과 구성원에게 감동을 주는 리더로서 우뚝 서길 기원한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4월 8일 오후 2:12
HD현대 사내벤처 프로그램에 참여해서 교육과 컨설팅을 진행했던 사내벤처가 드.디.어 제품을 내놓았다! 예전에 몇번 언급하기는 했지만 사업아이템을 공개할 수 없었는데 이제 드디어 공개할 수 있게 되었다. 입이 근질근질했었는데 말이다.
... 더 보기혹
... 더 보기‘탤런트’를 인재라고 생각하지 말고 그냥 TV드라마 탤런트로 생각해 보자. 주연이든 조연이든 지나가는 사람1,2든…모두 탤런트다. 탤런트만 있으면 드라마가 완성되는가? 그렇지 않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