뤼튼, 108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조선비즈
계란후라이 964
저는 개발자 부트캠프 커리어코치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제 역할은 개발자에게 필요한 직무 기술 교육을 받기 위해 부트캠프에 온 사람들을 만나서 그들의 직업적 고민을 듣고 취업을 돕는 것입니다.
개발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으로 직무 기술 교육을 받으러 부트캠프에 왔지만 직업적 진로에 대한 확신을 아직 내리지 못한 사람도 있습니다. 이전에 개발과 관련된 학습을 많이 경험하지 못했거나 이제 막 개발자라는 직업을 탐색하고 있는 여정일 수도 있습니다.
개발자 직무를 선택한 배경을 묻는 질문에 아주 오래전부터 꿈이었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보다 최근 개발자 직무가 인기 있고, 주변 지인 중 개발자가 있는데 일하는 모습이 멋있어 보였다고 이야기하는 사람이 더 많습니다.
직업적 진로를 고민하는 사람 중 일부는 PM(*Product Manager) 직무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개발 지식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기획하고, 제품의 로드맵을 관리하는 미션이 자신의 적성에 부합한다고 이야기합니다.
PM 좌무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는 성향이 있습니다. 리더십, 일정관리, 계획, 문서화, 협업, 소통, 공유와 같은 내용입니다. PM 직무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혼자 일하는 것보다 협업을 선호합니다. 협업 과정에서 소통을 즐깁니다. 그리고 팀원과 관계에서 주도권을 갖고 싶어 하는 리더십이 있습니다. 그들이 원하는 리더십은 권력에 대한 욕심은 아닙니다. 정보를 공유하고 팀원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함께 해결하고자 노력합니다. 매사에 계획적이고 구체적입니다. 글을 쓰는 것을 좋아하여 경험을 통해 배우고 느낀 내용을 문서로 정리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아쉽게도 제가 만난 PM 직무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한 가지 부족한 면은 분석적 사고입니다.
분석적 사고란, 데이터 분석 스킬을 포함하여 문제를 만났을 때 문제 해결을 위해 접근하는 방식이나 논리적으로 상황을 해석하고 설명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아무래도 대학교 때까지 주로 누군가 가르쳐 주는 내용을 학습하다 보니 스스로 생각하는 힘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PM이 되고 싶어 하는 사람을 만났을 때, 통계적 지식을 배우고 다양한 문제 해결 미션을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능력을 키워보라고 추천합니다. 요즘은 PM 직무도 신입 채용 수요가 있기 때문에 역량만 있다면 도전해 볼 수 있는 직무입니다.
대한민국에서 회사마다 PM에게 요구하는 기능적 역할이 조금씩 다릅니다. 서비스 기회, 프로토타입 제작, 데이터 분석, 성과 측정 등 PM에게 요구하는 역할 범위와 종류가 다릅니다. PM을 채용하고 있는 다양한 기업의 채용 공고를 보면 온라인 서비스를 만들고 업데이트하는 데 필요한 역할을 기대하는 기업이 있고, 비즈니스 모델이 되는 서비스 성장을 만들 내는 역할을 더 기대하는 기업도 있습니다.
미묘한 차이지만 PM 역할을 크게 나누어 보면 Product 조직과 Business 조직으로 관점의 기울기가 달라 보입니다. 사업의 성장을 만들어 보고 싶은 사람은 Business 향 PM을, 서비스 고도화를 이끄러 보고 싶은 사람은 Product 향 PM을 고려해 보세요.
목표를 수립하고 일정을 관리하는 조직 매니지먼트 성격의 일을 좋아하는 사람은 Project Manager 직무가 더 적합해 보입니다.
자신의 성격과 역량에 따라 현명한 직무 선택을 할 수 있게 되길 진심으로 응원해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6월 17일 오후 7:59
1. “다른 사람을 존중하라”고 설교하지만, 정작 자신은 직원들을 신뢰하지도 존중하지도 않습니다.
뤼튼의 누적 투자 유치액은 약 1300억원으로 분석됐다. 뤼튼에 따르면 거대언어모델(LLM)·반도체가 아닌 AI 서비스 플랫폼 분야 스타트업이 누적 투자액 1000억원을 넘은 것은 처음이다.
... 더 보기욱하는 성격 때문에 고민이라는 40대 직장인이 상담을 청해왔다. 자신이 사회생활하며 절대 용서할 수 없는 게 ‘거짓말, 시간개념 없음, 자기 맘대로 일하기’라서 부하직원들이 이를 어기고 변명하면 경고를 주는데, 얼마 전에도 도저히 참을 수 없어 버럭 화를 냈다고 한다.
... 더 보기A
... 더 보기요즘 오프라인 가게에서 점점 더 많이 보이는 ‘토스 결제 단말기’. 그 이유를 알아보니, ❶ 투박한 카드 결제기를 ‘고객 경험 요소’로 탈바꿈시켰고 ❷ 포스 프로그램 무료화로 사장님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줬다. 그리고 이 모든 것에는 ‘데이터’에 관한 토스의 큰 그림이 녹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