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는 가난한 자들이 내는 세금이다⟫

뉴욕대학교 경영대학원 스콧 갤러웨이 교수는 "광고는 가난한 자들이 내는 세금이다"라고 이야기했습니다. 실제로 광고를 보지 않으려면 돈을 내야 하는 Freemium 상품들이 많죠. 유튜브 보면서 광고가 나오는 시간을 가만히 기다린 적이 있으신가요? 유튜브 프리미엄은 광고를 보지 않는 조건으로 비용을 내는 멤버십 프로그램이자 광고와 함께 유튜브의 주요 수익원입니다. 광고로 돈을 벌고, 광고를 보지 않는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또 돈을 버는 모델은 감탄하게 합니다. 사실 광고는 기업이 수익을 내기 위해 가장 흔히 사용하는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멤버십, 수수료, 광고는 플랫폼 기업이 수익화를 위해서 사용하는 자연스러운 수단이죠. 오늘은 광고 효과에 대한 흥미로운 실험 한 가지를 소개합니다.


[ 큐레이터의 문장 🎒 ]


광고를 자주 노출하면 효과적일까요? 라디오나 팟캐스트를 듣다가 간혹 들리는 라디오광고를 떠올려보면 브랜드를 알리는 목적에는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실제 우호적인 이미지를 만드는 것은 빈도만 높여서는 안 되는 것 같습니다. 공무원시험은 에듀윌, 판촉물을 고려하라의 고려기프트 등을 많은 청취자들이 들어본 적이 있지만 우호적인 인식을 하는 것은 알고 있는 것과는 별개의 일이니까요. 실제로 소비자들에게 광고 자극을 반복적으로 노출할 때에는 부정적인 효과도 발생합니다. 광고 회피 반응이나 심리적 반발을 일으킬 수 있죠.


Hubert Zielske는 광고 노출 주기를 달리하여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13주에 걸쳐 노출, 다른 하나는 4주 간격으로 1년간 총 13회를 광고 메시지로 전달하고 광고회상률을 측정했습니다. 결과는 아래와 같았죠.


  • 집중형

    • 13주 동안 집중적으로 광고를 노출

    • 13주 후 63%의 높은 회상률 달성

    • 광고 종료 5주 후 회상률은 최고치 기록했지만 이후 급격한 하락

    • 52주째 최저점인 14%까지 떨어짐

    • 이후 완만한 하락세

  • 분산형

    • 1년 동안 4주 간격으로 총 13회를 나눠서 노출

    • 회상률이 완만하지만 꾸준히 상승

    • 50주에 최고치인 45% 이상 달성

    • 52주 후 29% 이상의 회상률

    • 이후 완만한 하락해서 104주차에 14%를 기록


위 실험은 1959년에 밝힌 데이터지만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집중형 광고노출 전략은 초기에 높은 회상률을 보이며 시즈널 상품에 적합

  2. 다만 광고에 집중노출된 소비자 그룹은 광고노출이 멈추는 순간 급격한 망각

  3. 집중형 노출은 노출 횟수에 비례해서 광고효과가 높아지기 어려움

  4. 장기적 회상률을 고려한다면 분산노출이 효과적이므로 단기적 상품 판매보다 장기적 브랜드 인지도 상승에 적합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7월 12일 오전 10:52

 • 

저장 19조회 1,70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우리가 믿는 사실은, 결국 뇌가 만든 이야기에 불과하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4 • 조회 783


    기억남는 디자이너 면접 답변 [14]

    Q) 완전히 새로운 기능을 출시할 때, 위험을 최소화하는 UX 접근 방법이 있을까요? (우디)

    ... 더 보기

     • 

    저장 1 • 조회 686


    프로덕트 디자인 포폴의 난관 = 제목 잘 쓰기?

    생각보다 프로젝트 제목은 프로덕트 디자인의

    ... 더 보기

    《대한민국 범정부 UX 혁신 자문을 이어갑니다》

    ... 더 보기

    퇴사 후 재취업, 이렇게 취업 했어요 #퇴사 #퇴직 #재취업

    ... 더 보기

    - YouTube

    alie.kr

     - YouTube

    《UX 리서치와 AI, 쓰임새와 균형감각에 대하여》

    ... 더 보기

    🎙️ 유저 리서치와 AI, 실무자 인사이트 엿보기 : 레드버스백맨

    Learning by Doing

    🎙️ 유저 리서치와 AI, 실무자 인사이트 엿보기 : 레드버스백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