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에 대해 고민하는 분들과 나눠 보고 싶은 이야기

공유한 글은 리더십에서 "자신있는 겸손함"이 핵심이라며 이렇게 말합니다.


- 리더십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고, 영향력은 올바른 방향성으로 사람들을 이끄는 힘이다.

- 방향성은 쉽지만 힘은 어렵다.

- 힘을 발휘하려면 리더는 자신있는 겸손함을 가져야 한다.

- 부정적 피드백을 대하는 태도가 핵심이다.

- 화내거나 부끄러워하거나 죄책감을 가지는 게 아니라 받아들이고 성장의 발판으로 삼아야 한다.


그런데 제 생각은 조금 달라요. 어떤 태도는 자신이 쌓아온 역사에 기반하는 것입니다. 그냥 어느날 갑자기 나는 이런 태도를 취하겠어 마음먹는다고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죠.

그래서 저는 올바른 방향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이를 통해 끊임없이 입증받은 리더라야 자신있는 겸손함을 가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들거든요.


https://contents.h.place/hlab/article/article/neweraofhuman-0

성장하는 리더와 고립되는 리더의 차이

contents.h.place

성장하는 리더와 고립되는 리더의 차이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8월 7일 오전 8:0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액터모델을 이용 이벤트소스/클러스터상태관리를 우아하게하기 - 코틀린


    ... 더 보기

    kopring-reactive-labs/AgenticCoding/Projects/PERSIST_DURABLE_CLUSTER at main · psmon/kopring-reactive-labs

    GitHub

    kopring-reactive-labs/AgenticCoding/Projects/PERSIST_DURABLE_CLUSTER at main · psmon/kopring-reactive-labs

    혹시 Claude 나 cursor 등 AI 로 개발하실 때
    뭔가 AI 스러운 뻔한 디자인 때문에

    ... 더 보기

    LinkedIn

    www.linkedin.com

    LinkedIn

    🍜 짜파게티가 왜 거기서 나와?

    ... 더 보기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이 문제는 왜 해결해야 하죠?” 토스페이먼츠의 Product Manager는 늘 이 질문에서 시작합니다. 화면을 기획하거나, 기능을 정리하는 일보다 먼저 우리는 문제의 본질을 정의하고 싶은 사람들입니다. 그렇다면 ‘문제의 본질’부터 고민하는 토스페이먼츠의 PM은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일하고 있을까요? 토스페이먼츠 PM 김명훈님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보세요.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PM

    toss.im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PM


    이젠 Claude 모델이 그렇게 압도적으로 좋은 건 아닌데, Claude Code는 진짜 분명하게 좋음. 아마도 프롬프트가 잘 되어 있어서 그런 것 같음. Claude의 다른 프롬프트들은 공개해뒀는데 Claude Code용 프롬프트는 공개를 안해줌. 역시 아무리 투명하게 공개한다고 해도 진짜 좋은 건 다 기업비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