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소규모 벤처뿐만 아니라 대기업 또한 맞춤형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소비자를 일정한 그룹으로 세그멘테이션 하고 전통적인 유통 채널을 통해 제품을 공급하던 대기업이 맞춤형 비즈니스를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방식의 전략이 필요하죠. 대기업들은 자신들이 보유한 오프라인 점포를 활용하여 맞춤형 비즈니스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점포를 통해 고객과 만나는 접점을 만들고 고객의 니즈를 직접 파악합니다. 또한 3D 스캐너와 같은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온라인보다 정교한 진단이 가능하도록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체험을 설계합니다. 맞춤형 제품으로 차별화를 꾀하는 오프라인 공간 세 곳을 소개합니다. 1. 판클: 플래그십 점포에서 만들어주는 맞춤 영양제 2. 와코루: 3D 스캐너로 찾는 나만의 속옷 3. 뉴민: 내 페이스 라인에 맞춘 피부에 좋은 맞춤 베개 자세한 내용은 칼럼에서 확인해 주세요~

맞춤형 서비스와 오프라인의 만남

패션포스트 - 깊이 있고 재미있는 패션과 라이프스타일 이야기

맞춤형 서비스와 오프라인의 만남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1월 10일 오전 8:5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명 선수는 명 감독이 될 수 없다’라는 말이 있다. 선수로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사람이 감독이 되었을 때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았기에 생겨난 말이다. 신이라 불리던 디에고 마라도나도 아르헨티나 국가대표 감독을 맡았지만 남아공 월드컵에서 그들 기준에 한참 못 미친 8강에 그쳤다.

    ... 더 보기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패스트캠퍼스 미디어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조회 549


    데이터 분석가 커리어 만들기[#1 tools 편]

    데이터 분석가로 커리어를 만들어 간 과정을 써보려고 한다. 첫번째 주제로 재미없는 라떼 이야기와 분석 tool을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요새는 R과 파이썬을 비교하며 어떤걸 배워야 할지 많이 물어보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결론부터 말하면 해당 언어에 대한 이해하면 되고 둘 다 하라고 하고 싶다. 두 개의 툴의 장단점이 있고, 본인이 속한 조직에서 필요로 하는 tool이 다를 수 있다. 사실 한 가지만 잘 한다면 어떤 걸 하던 크게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 만약 어떤 조직에 갔는데 다른 언어를 배워야 한다면 배우면 된다. 1.통계학이 좋아 데이터 분석가로 직업을 하고 싶어 대학원을 진학했다 처음 랩실 선배들이나 대학원 프로젝트는 전부 SAS를 사용하는 툴을 사용했다. 2009년까지는 그랬다. 그런데 시대가 변하기 시작했다. 우리 연구실도.... 2. Big Data가 이슈가 되면서 모든 프로젝트를 R로 하게 되었다. 그러면 항상 SAS와 R을 비교하며 질문을 했다. 물론 아직도 SAS를 쓰는 사이트(회사)는 SAS를 그대로 사용하고 R를 사용하는 사이트, 파이썬을 사용하는 사이트 등 다양하다. 그럼 그때 비교를 하면서 견제를 ... 더 보기

     • 

    저장 6 • 조회 1,103




    브런치에서의 6년, 그리고 100만뷰

    2

    ... 더 보기

    《읽는 사람, 쓰는 사람》

    ... 더 보기

     • 

    저장 3 • 조회 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