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 센 리더가 세상을 바꾼다고? 히틀러·스탈린을 보라
서울경제
<강한 리더라는 신화>는 제목 그대로 힘 센 지도자가 출현하면 사회 구성원들의 삶도 긍정적으로 바뀔 것이라는 군중의 바람이 신기루일 뿐이라고 논증하는 저서다. 혹시나 제목만 보고는 독자들이 책의 주장을 눈치채지 못할까 싶어 부제목을 ‘강한 리더가 위대한 리더라는 환상에 관하여’라고 달아 놓았다.
저자인 아치 브라운은 정치리더십 분야의 세계적 석학으로 옥스퍼드대학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며, 책은 스탈린과 무솔리니, 히틀러에서부터 영국의 토니 블레어에 이르기까지 정당 민주주의의 가치를 가벼이 여긴 지도자들이 초래한 끔찍한 결과를 드라마틱하게 서술한다.
정치 지도자를 유형별로 구분해 알기 쉽게 일러주는가 하면, 한국 독자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사례를 세계 민주주의 역사의 귀감으로 소개하기도 한다.
1970년대 후반 스페인의 총리였던 아돌포 수아레스가 대표적이다. 반대 진영을 포용하기 위해 공산당 합법화를 추진하고 독재 정권 치하에서 임명된 의회 세력을 대화와 설득으로 자진 해산시킨 수아레스는 ‘합의 추구형 리더’의 전형이다.
저자는 수아레스처럼 “한 나라의 경제 체제나 정치 체제를 바꿔놓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람”을 일컬어 ‘변혁적 리더십’이라고 명명한다.
그들은 정치 혹은 경제 체제 자체를 근본적으로 바꿔 한 단계 앞으로 나아간다. 유토피아를 외치지만, 기존 정권을 축출한 다음에는 권위주의적 행태를 보이는 경우가 많은 혁명적 지도자와는 구분된다.
대한민국의 사례는 등장하지 않지만, 워낙 다양한 유형의 지도자를 가져본 경험 탓에 행간을 옮길 때마다 우리의 지난 기억들이 밑그림처럼 떠오른다.
특히 저자가 “자신이 속한 정당보다 측근 무리를 더 신뢰하는 대통령과 총리”를 비판할 때, “정당이 위로부터 조종당하면 민주주의가 뿌리내릴 가능성은 전무하다”고 일갈할 때, 우리의 경험으로부터 영감을 받고 쓴 문장이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든다.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라면, 모든 국가는 제 나라 국민의 수준에 맞는 지도자를 갖기 마련이라면, 시민 각자가 실력을 갖추고 똑똑해지는 수밖에 없다.
강한 리더가 우리를 구원할 것이라는 허무맹랑한 환상에 빠지지 않도록. 우리가 애써 일군 민주주의가 강한 리더의 탈을 쓴 ‘권력 중독자’에 의해 파괴되지 않도록.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2월 7일 오전 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