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서사 주류 대중문화 콘텐트로 부상 사유리가 쏘아올린 비혼모 출산 문제에 MZ세대 여성들이 격한 응원을 보내는 것을 보내면서 대중들이 반응하는 아젠다가 달라지고 있음을 또 한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 대중문화 속에서 여성 서사가 주류로 나서는 흐름들은 이미 작년부터 뚜렷했지만, 최근의 작품들은 거대한 이야기 보다는 좀더 생활밀착 소재의 공감 코드가 부각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1. 현상( 트렌드) -tvN <산후조리원> “임신은 고달프고 출산은 잔인하고 회복의 과정은 구차하다” 예능 출신 제작진이 뭉쳐 여성에 대한 차별과 불평등이 만연한 ‘웃픈’ 현실을 재치있게 풀어내며 화제성과 파급력에서 선전 중. -카카오TV <며느라기> 인스타그램 등 SNS에서 연재된 수신지 작가 웹툰 원작으로 ‘산후조리원’에선 전업맘의 롤모델 사랑이 엄마 역을 맡은 박하선이 시댁에서 예쁨받고 칭찬받고 싶어하는 주인공으로 열연. 첫 화 공개 이후 조회수 100만 육박 - <82년생 김지영> 2020년 타임지의 ‘올해 꼭 읽어야 할 책 100’, 뉴욕타임스 ‘올해의 책 100’ 선정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970163.html 2. 분석 - 사회권력층의 변화도 중요하지만, 일상이 변해야 피부로 와 닿는 변화가 더 크기 때문에 대중문화에서 조명되고 새로운 담론이 형성되는 것의 의미가 있음. - 케이블과 종편뿐만 아니라 OTT 등 플랫폼이 다양화하면서 차별화된 소재와 포맷을 찾는 움직임 활발. 장르물도 거대 담론보다 일상 속에서 정의를 위해 싸우는 작품들이 호응을 얻은 것처럼 여성 화자가 많아지면서 그영역이 보다 넓어진 것 -‘산후조리원’은 1회당 60분 안팎의 8부작, ‘며느라기’는 1회당 20분 안팎의 12부작으로 기존 16부작 드라마의 기승전결 구조에서 자유로운 편 -로맨스물에서도 남자주인공의 비중이 더 컸다면 요즘은 여자주인공으로 중심 축이 옮겨지는 추세

모유는 일등칸 분유는 꼬리칸..불평등 비튼 '산후조리원'

다음뉴스

모유는 일등칸 분유는 꼬리칸..불평등 비튼 '산후조리원'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1월 25일 오전 10:1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7 • 조회 1,390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