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시간 보다 더 많이 일하고 싶은 자유

회사 생활을 할 때를 돌아보니 열심히 하던 시절에는 주당 60시간 정도를 일했던 것 같습니다.

매일 야근을 했습니다. 야근을 강요하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저는 너무 좋은 환경에서 일을 했기 때문에.
그냥 회사에 더 오래 있고 싶었을 뿐.
사람들하고 같이 코딩하는 게 재밌으니까.
하나라도 더 배우고 기여하고 싶으니까.
회사에 있으면 저녁밥도 먹을 수 있고… (안쓰럽지만) 집에 가봤자 할 일도 없는걸.

어떤 사람들은 이런 걸 좋게 보지 않을 겁니다.
그건 습관적 야근이라고.
반드시 해야 할 일이 아니면 빨리빨리 집에 가서 쉬고 내일 와서 하라고.

글쎄요, 좋은 일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회사에 늦게까지 남아있는 걸 좋아했다는 건 분명합니다.
더 많이 일하고 싶었거든요. 빨리 배우고 빨리 성장하고 싶은 마음이 컸기 때문에.
야근 수당도 받지 않고 그렇게 했으니 꽤나 순수한 동기였던 것도 같습니다.

요즘 같으면 어떨까요? 주 52시간 제도 때문에 저렇게 하고 싶어도 할 수가 없게 된 것 같습니다.
아마 팀장님에게 이런 얘기를 들을 것 같네요.
특별한 일 아니면 얼른얼른 퇴근해라.
쓸데없이 회사에 남아있지 마라.
혹여나 집에 가서도 일하지 마라.
네가 자발적으로 일한다 해도 불법이다.

가끔 이 제도가 신종 사다리 걷어차기는 아닌가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보호해야할 사람들은 보호해야겠지만...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려 애쓰는 청년들은 올라갈 수 있게 해줘야지, 사다리를 다 치워버리면 어떡해.

만약 제가 회사에 처음 들어갔을 때 주 52시간 같은 제도가 있었다면 어땠을까요? 더 일하고 싶은데도 안 된다고 집에 보낸다면?
별수 없이 집에 갔겠죠 뭐.
그렇게 지내다가 적응해버렸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적당히 일하고 적당히 쉬면서 사는 삶에.
사실 그렇게 살면 편하긴 하니까요. (나이가 든 후 지금의 저처럼 편하게 살고 있지 않을 것 같네요.)

많이 일하는 것이 중요할까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역량에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일하는 양이 차이를 만드는 결정적인 요소가 될 것이 틀림없습니다.

우리는 선진국이 아니니 아직 놀 때가 아니라는 말을 하고 싶은 게 아닙니다.
놀 사람들은 놀고 미친 듯이 일하고 싶은 사람들은 그렇게 해줄 자유를 갖게 해주자는 것.
모든 사람이 52시간 넘게 일할 필요는 없습니다. 저도 요즘에는 하루에 3~4시간 정도만 일하며 지냅니다.
주당 100시간씩 일하겠다는 미친 사람들이 있다면 그걸 허락해 줘서 끝내주는 걸 만들어낼 수 있는 사회가 됐으면 합니다. 그런 미친 사람들 덕분에 다 같이 잘 살게 되는 것은 덤입니다.

1970년에 (겨우 22살이었던) 전태일이 노동자들을 혹사하지 말라며 스스로의 몸을 불사른 지 55년이 지났습니다. 덕분에 노동자들의 권리가 많이 좋아졌습니다. 주 52시간 근무도 그런 것 중 하나라 생각합니다. 노동자들을 (돈도 제대로 안 주면서) 너무 부려먹는 악덕 고용주들이 많았으니까.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더 많이 일하고 싶은 자유도 존중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마침 요즘 논의가 되고 있는 것 같으니 조만간 더 좋게 고쳐지지 않을까? 하고 낙관적인 기대를 해봅니다.


https://jeho.page/essay/2025/02/10/working-52-hours.html

52시간 보다 더 많이 일하고 싶은 자유

K리그 프로그래머

52시간 보다 더 많이 일하고 싶은 자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2월 10일 오전 9:03

 • 

저장 14조회 3,924

댓글 3

  • 게시된 내용에 충분히 공감이 갑니다. 하지만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른게 있구나를 많이 느끼는 길이 되네요 예전에는 회사에 오래남아있는것이 도움이 되었다면 요즘은 성과 유무에 따라 대우가 달라지는곳도 많다보니 꼭 회사에 남아있을 이유가 있나라는 생각을 합니다. 집에가도 할게없다라.. 자기 개발이 필요하면 공부할게 너무 나도 많은 세상입니다. 집에서 회사일을 하지말라.. 네 안하고 내가 하는 업무 효율적인게 뭐가 더있을까 찾아볼수도 있고 부족했던 내용 공부할수도 있죠 꼭 회사에서 있으면서 배우는게 아닌 집에서도 할 수있는게 참많습니다.업무시간에 귀속된채로 업무의 관련된 것만 아닌 더 넓고 더 다양하게 좀더 좋은 세상으로 가고있다고 확신합니다

  • 공감합니다

  • 입장은 이해가 가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 공감이 힘든 거 같습니다. 누군가한테는 주 52시간제가 더 일하고 싶은 사람들의 근무의욕을 꺾는다고 생각하겠지만, 누군가한테는 악덕 사장이 직원 부려먹는 것을 막아주는 합법적인 장치죠. 어떤 통계에서 우리나라가 OECD 국가들 중에서 근무 시간은 많지만 시간 대비 생산성은 떨어지는 국가라고 나오는데, 많이 일한다고 해서 역량이 크게 오르는지 의문이 듭니다.

함께 읽은 게시물

보이지 않는 의미찾기



... 더 보기

 • 

저장 2 • 조회 704



첫 회사보다 중요한 것

... 더 보기

- YouTube

undefined

 - YouTube

 • 

저장 39 • 조회 2,554


혹시, Cursor 나 Claude 얘기는 많이 들었는데
잘 쓰고있는건지 모르겠다,
이제는 AI 활용 방법 제대로 배워야 할것 같은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할지 막막하다
이런 고민을 하고 계신가요??

... 더 보기

스테지별 지원 전략

평가 기준은 회사가 아니라

... 더 보기

이젠 Claude 모델이 그렇게 압도적으로 좋은 건 아닌데, Claude Code는 진짜 분명하게 좋음. 아마도 프롬프트가 잘 되어 있어서 그런 것 같음. Claude의 다른 프롬프트들은 공개해뒀는데 Claude Code용 프롬프트는 공개를 안해줌. 역시 아무리 투명하게 공개한다고 해도 진짜 좋은 건 다 기업비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