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에서 가장 중요한 포지션은 리더십이라고 생각합니다. 리더는 구성원을 이끌고, 목표 달성을 해야 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 사람입니다. 리더는 구성원에게 모범을 보여 구성원이 리더를 자연스럽게 따르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리더는 구성원에게 방향을 알려주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리더는 긍정적인 문화를 조성하고, 문화라는 약속을 철저히 지키야 합니다.
리더십에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강력한 카리스마를 바탕으로 조직 구성원을 휘어잡는 리더가 있고, 부드러운 말과 행동으로 구성원을 설득하고 스스로 움직일 수 있도록 변화를 유도하는 리더가 있습니다. 누가 더 좋은 리더냐 우열을 가릴 수 없고, 구성원마다 선호하는 리더십이 있어서 더 잘 맞는 캐릭터가 좋다고 평가할 것입니다.
리더는 한 가지 모습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리드해야 하는 구성원에 따라 그들의 요구에 맞춰 리더십을 발휘해야 합니다. 강력한 리더십을 원하는 구성원에게 강한 챌린지를 제공하고, 부드러운 리더십을 원하는 구성원에게 엄마나 아빠와 같은 리더십을 보여주면 됩니다. 마이크로 매니징을 원하는 구성원에게 꼼꼼한 리더십으로 리드한다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리더는 내부 구성원 중에서 탄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믿습니다. 외부에서 리드를 수혈하는 방식도 괜찮지만, 그것보다 이미 조직 상황을 잘 이해하고 있는 내부 구성원이 리더가 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구성원과의 관계나 이미 검증된 역량 등을 고려할 때, 기존 구성원을 리더로 세우는 것이 자연스러운 단계입니다.
리더가 될 준비를 시키는 것이 조직이 해야 할 일입니다. 기존 구성원에게 리더십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여 누구라도 리더가 될 수 있다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꼭 리더가 되어야 리더십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모든 구성원에게 리더십은 하나의 덕목입니다. 누구나 자기 자신에 대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일을 주도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목표, 계획, 추진 등 리더가 갖추어야 할 자질은 사실 누구에게나 필요한 공통 역량입니다.
조직의 성장은 전적으로 리더에게 달려 있습니다. 가혹한 이야기 같지만, 실제로 그렇습니다. 리더가 슈퍼맨처럼 미친 역량을 발휘해야 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구성원과 소통하고 공감을 통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부단히 노력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구성원에게 관심을 갖고 정성을 쏟지 않으면 조직이 성장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리더의 역할이 중요하고 성장의 책임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조직 문화도 리더에게 키가 50% 이상 달려 있습니다. 그럼 구성원과 비중이 50%로 똑같다고 오해할 수 있습니다. 리더는 구성원보다 훨씬 적은 비중의 인원입니다. 구성원이 5명이라면 리더는 1명이고, 더 상위 조직 단위를 맡고 있는 리더도 1명입니다. 그러니까 리더 1명이 전체 구성원에게 줄 수 있는 영향력은 50% 이상입니다. 그러나 조직 문화는 리더 혼자 만들 수 없고, 구성원이 따르고 지켜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50%라고 하였습니다.
리더는 약속을 지키는 사람입니다. 구성원과의 약속과 자신과의 약속을 모두 지켜야 합니다. 원칙과 기준에 의해서 판단하고 행동하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작은 예외 상황도 가볍게 판단하지 않고 원칙과 기준에 맞게 행동해야 합니다. 아무도 보지 않고 아무도 지적하지 않는다고 해서 원칙과 기준을 무시하고 행동하는 것은 잘못된 판단입니다. 누가 보지 않더라도 약속을 지키는 것이 도덕적 양심이라고 믿습니다.
리더는 구성원에게 책임감을 가져야 합니다. 일을 잘 못하는 구성원이 있다면 밖으로 내모는 것이 아니라 끝까지 책임을 져야 합니다. 책임이란 일을 잘할 수 있도록 돕거나 구성원에게 더 잘 맞는 역할을 찾아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구성원의 강점을 발견하여 그 강점을 잘 발휘할 수 있도록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 리더의 책임입니다. 구성원이 성과를 내지 못하는 것에 대한 책임이 리더에게 있다는 의미입니다. 성과를 만들지 못하는 구성원을 탓하는 리더는 자격이 없습니다.
리더는 바쁘지 않아야 합니다. 철저히 계획에 따라 움직여야 합니다. 정신없이 시간을 보내고 틈이 나면 구성원을 돌보는 것이 아니라 항상 구성원을 먼저 생각하고 계획적으로 팀을 다스려야 합니다. 그런 리더십이 있어야 구성원이 안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리더가 안정되게 일을 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구성원도 따라서 편안하게 업무에 몰입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2월 18일 오후 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