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같은 시국에 다시 주목하게되는 언론 혁신의 상징 뉴욕타임스의 캠페인

요즘처럼 국내외에서 불확실성이 그 어느때보다 크고 갈등이 팽배한 적이 있나 싶다.


이렇게 불확실성이 더욱 커진 시대에 경계해야 할 것은 다양한 정보나 지식의 소스가 아닌 지나치게 좁은 미디어나 매체를 통해 얻은 지식이나 정보들이 마치 모두 진실이고 그것이 전부 옳다라고 생각하는 지식과 사고의 ’지나친 편협함‘ 이 아닐까?


요즘같은 시국에 언론사 혁신의 상징이 된 미국의 일간지 '뉴욕타임스'의 캠페인에 다시 주목하게 되는 이유가 있다.

https://bit.ly/3FygLA1


#스투시의마케팅노트

책 <마케터의 브랜드 탐색법>
https://bit.ly/3H10pgM

*협업/기업강연,교육 문의
https://linktr.ee/stussygo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3월 18일 오전 8:0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혁신의 첫 반응은 '박수'가 아니라 '야유'다 >

    1

    ... 더 보기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이 문제는 왜 해결해야 하죠?” 토스페이먼츠의 Product Manager는 늘 이 질문에서 시작합니다. 화면을 기획하거나, 기능을 정리하는 일보다 먼저 우리는 문제의 본질을 정의하고 싶은 사람들입니다. 그렇다면 ‘문제의 본질’부터 고민하는 토스페이먼츠의 PM은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일하고 있을까요? 토스페이먼츠 PM 김명훈님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보세요.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PM

    toss.im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