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파크 부문을 빠르게 대체한 건 디즈니 플러스였다. 월 일정액(6.99달러)을 내면 영화와 TV쇼 등을 무제한 볼 수 있는 서비스다. 2018년만 해도 전체의 5%에 불과했던 스트리밍 매출은 올해 24%로 급증해 테마파크 부문마저 넘어섰다. 코로나19 직격탄에도 디즈니의 총매출이 지난 1년간 6%밖에 줄지 않은 배경이다." 코로나 펜데믹 이후 주력사업을 바꿔서 위기를 극복한 기업 디즈니와 우버. 디즈니는 전체 매출의 37%를 차지하던 테마파크와 리조트 사업이 타격을 받았으나 스트리밍 서비스 '디즈니 플러스'로 만회. 디즈니 플러스는 2024년까지 가입자를 최소 6000만 명 확보하겠다고 선언했는데, 지난 11일 가입자수 8680만명을 돌파했다고 발표하며 불과 1년 만에 목표를 초과 달성. 우버는 차량 호출 사업이 지지부진하자 음식 배달 부문인 ‘우버이츠 서비스’로 무게중심을 옮겨 반등에 성공. 이달 초 음식 배달 경쟁사인 포스트메이츠를 26억5000만달러에 인수하며 미국 시장 점유율의 약 35%를 차지. (1위 업체는 시장점유율 50%의 도어대시) 우버의 주가는 올해 3월의 저점 대비 서너 배 급등.

'본업보다 부업' 집중...디즈니·우버, 불황 뚫었다

n.news.naver.com

'본업보다 부업' 집중...디즈니·우버, 불황 뚫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2월 15일 오전 2:1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1 • 조회 1,237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개념들

    -

    ... 더 보기

    < '네이버 다녀요'라는 말에 아무도 무슨 일을 하는지는 묻지 않았다 >

    1

    ... 더 보기



    AI가 앞으로 세상을 바꿀 어쩌구 저쩌구 하는 내용은 큰 관심 없다. 당연한 이야기기도 하고 너무 많이 듣는 이야기도 하기 때문이다. 본 기사에서 가장 흥미롭게 본 부분은 '한국은 챗GPT 사용이 가장 활발한 국가 중 하나다. 오픈AI에 따르면 한국의 주간 활성 챗

    ... 더 보기

    '챗GPT' 오픈AI 韓법인 설립 "한국 유료구독자 전세계 2위"

    매일경제

    '챗GPT' 오픈AI 韓법인 설립 "한국 유료구독자 전세계 2위"

    조회 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