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로스와 관련 있는 조직문화 소개 애자일, 애자일 방법론 (VS 폭포수), 애자일 선언문 회사가 꾸준히 성장하기 위해서는 가설 설정 - 실험 - 결과 도출 - 대응 프로세스를 거쳐야한다고 합니다. 스타트업에서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너무 길어지면 외부 환경 및 소비자에게 기민하게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예전부터 ‘애자일‘을 조직문화에 도입하기 시작했고 다양한 애자일 방법론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애자일(Agile)이란? - 직역하면 기민한, 민첩한 - 2주 또는 4주 등 짧은 주기를 가지고 끊임없이 프로토타입을 만들며 필요할 때마다 요구사항을 추가하며 개발해나가는 방식 - 애자일 개발은 기술 기반 상품 개발 프로세스/코드 기반 개발 모형(↔️계획 기반 모델인 폭포수 모델과 반대) - 애자일 핵심은 ‘변화에 빠른 대응’ - 애자일은 방법론은 아니며 하나의 사고 방식, 사상 또는 철학 - 애자일을 적용한 방법론(또는 프레임워크)이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칸반, 스크럼 등 - 애자일 방법론을 지원하는 툴이 지라(jira), 트렐로(trello) 등 💡애자일 vs 폭포수 비교 애자일 - 프로젝트 착수 시점에서 전체 상품 요구 사항을 상세하게 정의하지 않고 일부 요구 사항을 정의하고 일부 요구 사항을 구현하기 위해 요구분석 → 설계 → 디자인 → 코딩 → 개발 → 테스트 를 수행 - 개발 진행 과정에서 요구 사항이 변경될 수 있음 폭포수 - 프로젝트 착수 시점에서 전체 상품 요구 사항을 상세하게 정의한 뒤 전체 상품 요구 사항에 대한 요구분석 → 설계 → 디자인 → 코딩 → 개발 → 테스트를 순차적으로 착수 - 이전 단계가 마무리가 되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음 - 기술적인 위험 요소가 적음 (전체 상품 요구 사항을 모두 정의하고 중간에 변동이 없음) - 개발 과정에서 기획 변경이 어렵기 때문에 외부에 유연/민첩하게 반응이 어려움 - 예시. 게임 회사 등 애자일, 폭포수 중 어떤 것이 더 좋다라고 정의하긴 어렵습니다. 조직, 서비스 등 여러 특성에 따라 폭포수가 적합한 조직이 있으며 애자일이 적합한 조직이 있습니다. 외부 변화 및 소비자에 빠르게 대응하고 피벗이 잦은 스타트업에는 애자일은 꼭 필요한 방식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실무에서는 구성원, 조직문화 등이 애자일에 적합하지 않은 겅우가 많아 애자일을 추구하는 게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2021년 1월 2일 오전 5:27
SI에서는 애자일 100% 힘든것 같아요
네 맞아요! 서비스 특성상 적용이 어려운 분야도 있더라구요~
뭐든 새롭게 시도해 보고 상황에 맞는 액션이 애자일 아닐까요?
네 시도는 좋아요 그리고 100%애자일 보다는 좀 변형된 형태도 좋은 것 같아요
네 애자일을 딱 하나로 정의하긴 어려운 거 같아요 결국 가설을 세우고 새롭게 시도하고 인사이트를 얻고 반영하고를 반복하는 과정을 기존보다 좀 더 민첩하게 하는 게 애자일이 아닐까 합니다:)
삭제된 사용자
2021년 01월 03일
제조업에서도 애자일이 힘드려나요? 성공한 예시가 있으면 좋겠어요!
생산 라인 기준으로 애자일을 해보면~ 잘 알지는 못하지만 예전에 학생때 공장 알바를 해보는 무슨일이든 분업 기준으로 라인이 있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