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명상컨텐츠 [헤드스페이스:명상이 필요할 때] 신년 런칭 💡 생각 1월 1일은 항상 다짐의 날이다. 다짐의 날에 맞춰, 넷플릭스가 스토리텔링 콘텐츠가 아닌 새로운 콘텐츠를 런칭했다. 예능, 시리즈(드라마), 영화, 다큐멘터리로 분류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에 명상, mindfulness 라는 제3의 콘텐츠. 명상 어플리케이션 [headspace]와 콜라보레이션으로 명상하는 가이드를 8편의 영상콘텐츠를 제작했다. 헤드스페이스 특유의 그래픽이 더해졌고, (자막 만으로는 부족한) 명상 특성상 각국의 언어로 더빙 되었고, 한국어 더빙은 넷플릭스 [스위트홈]의 이도현이 참여했다. 넷플릭스가 처음은 아니다. HBO MAX 역시 지난 20년 7월 명상앱 1위인 Calm 과 콜라보레이션으로 ‘World of Calm’를 기획했다. 헤드스페이스와 달리, ‘명상’ 콘텐츠 뿐만이 아니라, 부수적인 콘텐츠를 시리즈로 제작하였다. 얼마전 안드로이드 런칭을 한 쿠팡플레이는 (로켓배송과 엮은 서비스라는 점 외에) 콘텐츠 측면에서만 바라봤을 때 기존 사업자보다 뒤쳐졌음 뒤쳐졌지, 눈에 띄는 강점이 느껴지지 않았다. 다만, 스토리텔링 콘텐츠에 집중해왔던 글로벌 OTT과 달리 [교육과 영어] 카테고리처럼 “생활 전반에 유용한 영상”들을 포함한 것이 가장 특이 포인트였다. 일상 속 편리함을 추구하는 쿠팡의 서비스와도 맥락이 맞닿아 있달까. 이 부분을 지속적으로 강화 시킨다면 쿠팡 만의 색을 찾을거라 생각한다. 쿠팡에서 물건을 산 소비자는 지금 무엇을 보고 싶은가? 이렇게 국내외 OTT들은 “영상”으로 만들어진 콘텐츠라면, 그리고 또 “완성도”가 검증만 되었다면 소비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어떤 콘텐츠든 추가할 기세이다.

이도현, 한국 대표로 '명상이 필요할 때' 힐링 영상 참여 '나를 비우는 연습'

한국일보

이도현, 한국 대표로 '명상이 필요할 때' 힐링 영상 참여 '나를 비우는 연습'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월 2일 오전 8:0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