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체를 거치지 않고 제조사가 온라인으로 직접 판매하는 D2C가 부상하고 있다. 안경 업체 와비파커, 면도기 업체 달러쉐이브, 화장품 업체 글로시에, 매트리스 업체 캐스퍼 등이 자사 온라인몰을 기반으로 한 직접 판매로 성장했다. 채널 의존도가 높았던 전통 제조 업체들도 D2C에 뛰어들었다. 나이키를 비롯해 로레알, 버켄스탁 등이 D2C로 전환했고, 구찌, 루이비통 등 명품도 자사 온라인몰을 구축해 직접 판매를 확대하는 추세다." "현재 나이키플러스 회원은 2억5000만 명이 넘는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들은 나이키 웹사이트 이용자보다 돈을 3배 이상 더 쓴다." '아마존에서 안 팝니다.' 나이키처럼 거대 유통사를 벗어나 직접 소비자에게 물건을 판매하는 D2C가 부상한다. '실적’과 ‘고객 경험’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함. D2C의 부상은 아마존과 쿠팡 같은 공룡 이커머스 기업들에게도 매우 위협적인 흐름.

[2021 컨슈머]⑤ "아마존에서 안 팔아" 나이키 '신의 한수' 통했다

n.news.naver.com

[2021 컨슈머]⑤ "아마존에서 안 팔아" 나이키 '신의 한수' 통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월 7일 오전 12:4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온리팬스는 영국 당국에 제출한 자료에서 2023년 11월 말 기준 66억달러 매출을 올렸다고 밝혔다. 이는 2020년 3억7500만달러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로이터는 이 같은 빠른 성장세가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다고 설명했다.

    ... 더 보기

    ‘음지의 트위터’ 음란영상 플랫폼 ‘온리팬스’, 11조원에 매각 협상…IPO도 고려 [투자360] - 헤럴드경제

    헤럴드경제

    ‘음지의 트위터’ 음란영상 플랫폼 ‘온리팬스’, 11조원에 매각 협상…IPO도 고려 [투자360] - 헤럴드경제

    조회 411


    《어중간한 실패가 남기는 후회》

    ... 더 보기

     • 

    저장 2 • 조회 615


    🏦하루 10명도 안 오는 은행 점포, 어찌해야 하나요?

    ... 더 보기

    “하루 10명밖에 안 오는데”...발길 끊긴 은행점포, 폐쇄도 못하는 까닭은 - 매일경제

    매일경제

    “하루 10명밖에 안 오는데”...발길 끊긴 은행점포, 폐쇄도 못하는 까닭은 - 매일경제

    조회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