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18 회사에서 본인을 빠르게 성장시키는 방법 - People Scaling
YouTube
# 회사 생활하며 본인을 빠르게 성장시키는 방법 - People Scaling 🔖코멘트 샌드버드 대표 존님의 유투브 채널 영상입니다. 새해를 함께 시작하기에 좋은 영상이네요. 다른 영상 내용도 좋아서 구독했습니다 ㅎㅎ 1번 관련해서 주단위로 퍼포먼스 리뷰하는 회사가 생각났는데 개인적으로 주단위처럼 잦은 빈도도 일에 주체성을 갖고 임하는 사람에겐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2-3-5번은 상통하는 면이 있는데, 흔히 두루 잘하는 Generalist VS 하나를 특출나게 잘하는 Specialist로 양분해서 어떤 것이 조직이 필요로 하는 인재인지 논의되어 왔다면, 영상에서는 이를 깔끔하게 Tweener를 예로 들어 정리해주시네요. 저도 조직을 전체적인 관점에서 사고할 수 있을 만큼의 지식과 혜안이면 충분하지 굳이 Generalist가 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자기만의 강점을 확실히 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한 것이죠. 자세한 내용은 영상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1️⃣ 내 성장의 피드백을 짧게 만들어라: 적어도 분기별로 리뷰 + 자신보다 커리어를 한-두 단계 앞서 밟고 있고, 잘 알려진 멘토 3~5명 정도로부터 멘토링 + 주/격주 1 on 1 & 동료 피드백 + 자기 회고 2️⃣ 내가 조직의 드라이버인가 병목인가: 초반엔 여러 가지를 조금씩 맡아가며 제너럴리스트로 시작하지만, 근무 기간이 늘어질수록 일이 자연스럽게 늘어나고 자신이 수용 가능한 범위를 넘어가는 순간이 온다.. 그때 자기의 전문 분야, 범위를 확정하고 나머지는 다른 사람에게 분배해야 한다. 3️⃣ 추상화 layer를 오갈 수 있어야 올라간다: - 실무(IC): 실행에 중심을 두되, 매니저 관점에서 어떤 것들이 우선순위가 높은가 어느 정도 이해하는 상태 - 매니징(Mng.): 실무에 대한 감을 잃지 않은 채, 전체 조직에서 봤을 때 우리 팀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고 다른 팀은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지 전체적인 관점 인지하는 상태 유지 - 디렉팅(Dr.): 마찬가지로 실무의 감을 유지한 채, VP 관점에서 어떤 고민이 있고 우선순위가 있을지 생각해보고 업무 확장해서 생각 - VP, CEO도 같은 방식으로 조직 전체로 사고를 확장해서 생각 4️⃣ 나로 인해 팀의 수준이 올라가고 있는가: 당신이 품질의 척도가 되어야 한다. 끊임없이 성취한 것 이상으로 이루어야 한다. 목표는 정적인 게 아니라 동적인 것. 기존보다 더 나은 방법을 끊임없이 공부하고 제시해야 한다. 5️⃣ 강점에 집중하고 약점은 팀원들과 보완해야 한다: 치명적인 약점은 고쳐야겠지만, 트위너(Tweener)가 되지 않게 조심해야 한다. 조직은 스포츠팀과 같이 구성하는데 본인의 특출난 점이 없다면 높은 자리까지 올라가기 힘들 것이다. 6️⃣ 나 스스로 6-12개월마다 해고할 수 있는가: 본인이 그 정도로 빨리 성장해서 바로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는 상태인가? Unlearn 지금까지 배워온 것을 다시 해체하여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어야 한다. “What got you here won't get you there - Marshall Goldsmith” 7️⃣ 내 두뇌가 나 자신에 함몰되어 있지 않은가: 생존에 신경 쓰기 시작하면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게 되어 사고가 좁아진다. 본인 스스로에 대해 생각하는 만큼 비즈니스에 대해서도 생각하고 있는지 생각해보고 비중이 자기에게 더 있다면 자가점검이 필요한 시간 8️⃣ 스스로 내적 동기부여 할 수 있는가: R.A.M.P 사람들과의 관계와 소속감 / 자기 주도적 환경 / 학습과 성장을 통한 몰입 / 의미 있는 일과 삶 오랜만에 올렸습니다. 구독자 여러분 모두 새해복 많이 받으시고 크게 성장하고 성취하는 한해 보내시길 :)
2021년 1월 10일 오후 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