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타 강사의 수익구조 1. 기본 수익 - 강의료 일부를 일타강사가 챙기는 정률제 방식. 수익 배분 비율은 인강이냐 현강이냐에 따라 다르다. 인강에서는 온라인 강의 플랫폼과 강사가 대략 7:3 비율로 수강료 수익을 나눈다. 반면 강사의 영향력이 지대한 현강은 강사 60%, 학원 40%로 나누는 것이 보통이다. - 월수입 유추= 현재 대치동에서는 ‘현강 정원 250명’이 일타강사 기준으로 통한다. 수강료는 주 1회당 7만~8만원씩 해서 월 30만원 정도. 일타강사는 보통 매월 8개 이상 강의를 진행한다. 이를 기준으로 보면 학원은 월 6억원을 받아 이 중 60%인 약 3억6000만원을 일타강사에게 떼 준다는 계산이 나온다. 현강으로만 연봉 30억~40억원을 버는 셈. - 인강 수익= 전체 매출액의 30%가 강사 매출로 지급되는데, 철저하게 강의 시청 시간에 따라 배분된다. 지난 2019년 메가스터디가 온라인 강의로 벌어들인 매출은 263억3000만원. 이 중 30%인 79억원이 강사에게 돌아간다. 현우진 강사 수업 점유율이 50%라면 현 강사에게 79억원의 절반인 40억원 정도가 돌아가는 식이다. 2. 부가 수익 - 여기서 끝이 아니다. 부가 수입도 많다. 대형 학원과 1~5년 주기로 계약할 때 받는 이적료가 수십억원에 달한다. 스카이에듀 국어 영역 일타강사인 유대종 강사는 개인 유튜브 채널에서 “스카이에듀로 이적하기 전 두 회사에서 이적료로 각각 50억원, 90억원을 주겠다고 했다. 그중 한 회사에서는 온라인으로 발생하는 수익 중 기존 30%를 훌쩍 웃도는 50%를 제안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3. 부교재 판매 - 자체 제작한 교재 판매 수익. 현우진 강사는 2018년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에 대표 자체 제작 교재인 ‘뉴런’을 99만권 팔았다고 밝혔다. 권당 2만8000원을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교재 판매액만 277억원에 달한다. 뉴런뿐이 아니다. 시발점, 수분감 등 다양한 커리큘럼별 교재가 따로 있다. 이 모든 교재 판매액을 합하면 수입은 천문학적 수준으로 급증한다.

연봉 수백억·250억 펜트하우스...`수험생들의 아이돌` 일타강사의 세계

매경이코노미

연봉 수백억·250억 펜트하우스...`수험생들의 아이돌` 일타강사의 세계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월 18일 오후 10:5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4 • 조회 1,349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08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