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엌·가구 이어 리모델링으로 승부수 … 한샘 강승수 회장 "재택근무와 원격 교육이 일상화하면서 가구·인테리어·소품 등 집에 대한 소비자들의 투자가 크게 늘었다. 소비자들이 ‘삶의 공간으로서 집’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할수록 홈 관련 산업은 지속해서 성장할 것이다. 우리에게는 더 큰 기회가 아닐 수 없다.” “재택근무 확산에 따른 홈 오피스 공간 확대, 가족 공간 강화, 개인 공간과 가족 공간의 분리, 스마트홈 기술 적용, 인텔리전트 수납공간 확대 등이 집의 새로운 트렌드가 될 것으로 본다."

[비즈니스 현장에 묻다] "시장이 정한 카테고리 부숴야 미래가 열린다"

Naver

[비즈니스 현장에 묻다] "시장이 정한 카테고리 부숴야 미래가 열린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월 22일 오전 4:4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7 • 조회 1,386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