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프로덕트 지표에 이상이 생겼다면❓] PM/PO에게 요구되는 중요한 자질 중 하나는 프로덕트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원인을 파악하고 대처하는 것입니다. 특히 초기 프로덕트의 경우 갑자기 지표가 흔들리는 등 다양한 문제가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스냅챗의 프로덕트 매니저인데 Engagement 지표가 20% 떨어졌습니다. 무엇부터 확인해야 할까요? 이런 이슈가 발생했을 때 어떤 질문을 던지며 현상을 분석해야 하는지 살펴봅시다. ✔️ 하락 지표에 대한 해석 ✍️ - Engagement로 나타나는 지표 중 정확히 무엇이 떨어졌는가? - 몇 퍼센트의 하락이 있었는가? - 수치 하락은 점진적인가, 급작스러운가? - 시간별 또는 일별 트렌드는 어떠한가? ✔️ 특정 그룹에 대한 영향도 파악 👤 - 더 많은 하락이 있는 유저 그룹이 있는가? -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지역이 있는가? - iOS, Android 중 눈에 띄게 하락폭이 큰 플랫폼이 있는가? - 특정 버전에서 일어나는 하락인가? ✔️ 원인 추정 ⏳ - 지표 하락 직전에 출시된 기능이 있었는가? - 관련된 서버 배포가 있었는가? - 산업 전반에 특별한 변화가 있었는가? - Engagement를 측정 로그 등 데이터 관련 변화가 있었는가? PM/PO는 현상을 빠르게 진단하고, 원인 파악 및 해결을 위해 개발자와 긴밀히 협업하고, 오류 상황에 대해 이해관계자에게 명확히 커뮤니케이션하는 등, 이슈 상황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해야 합니다. 문제가 생기면 당황하기 마련이지만, 침착하게 위와 같은 질문을 하나하나 던지며 답을 찾아보는 경험을 많이 하다보면 점차 능숙히 대처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 (원문을 번역/편집하여 공유드립니다)

How to diagnose a problem as a Product Manager

Medium

How to diagnose a problem as a Product Manager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월 28일 오후 1:0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저는 책을 끝까지 읽지 않습니다 >

    1

    ... 더 보기

    < 인생을 바꾸는 ‘큰 돌멩이’의 법칙 >

    1. 스티브 잡스는 매일 아침 거울 앞에서 스스로에게 물었다. 오늘이 내 삶의 마지막 날이라면, 지금 이 일을 계속할 거냐고.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1 • 조회 956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의 첫 책 <진짜의 마인드>를 읽었다. ‘삶의 본질에 집중하는 태도에 관하여‘라는 카피에 혹해서. 무엇보다 JTBC 축구 예능 ‘뭉쳐야 찬다’에서 본 그의 유니크한 플레이의 근원이 궁금해서.

    ... 더 보기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가 사는 법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n.news.naver.com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가 사는 법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 상대방이 스스로 이겼다고 착각하게 만들어라 >

    1. 설득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설득하지 않는 것'이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2 • 조회 653


    < 매일 아침 헬스장 가기 싫은 당신에게 >

    1. 두 선택지가 팽팽히 맞서고 어느 한쪽이 단기적으로 더 고통스럽다면 그 길이 장기적으로 이익일 가능성이 높다. 복리의 법칙에 따라 당신은 장기적인 이익을 선택해야 한다.

    ... 더 보기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