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빈후드의 비즈니스 모델 - 데이터 ] GameStop 주식의 매수 버튼을 없애서 최근 로빈후드가 비판을 받고있다. 그래서 궁금해졌다. 로빈후드는 수수료를 이용자들에게 부과하지 않아서 지금까지 많은 이용자들을 확보했는데, 돈은 어떻게 벌지? ● If you don't see the product, you're the product - 진짜 공짜인가? - 사용자가 주문을 넣으면 로빈후드는 해당 주문을 market-maker partner들에게 돈을 주고 판다. - Citadel, Wolverine 아니면 Two Sigma와 같은 금융사들에게 주문을 넘겨주는데, 언제, 어디서, 얼마에 투입된 증권인지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 여타 정보가 들어있다. - 그래서 한 건당 $0.00026를 받는데, 이렇게 넘겨진 데이터는 금융사들이 algo trading을 하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 결국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를 파는 것이기 때문에 '공짜'는 아니다. - 링크: https://d2ue93q3u507c2.cloudfront.net/assets/robinhood/legal/RHF%20PFO%20Disclosure.pdf ● 한국에서는 이와 같은 비즈니스 모델이 성립할 수 있을까? - 한국은 오픈뱅킹을 활용하여 금융 관련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바탕으로 2차 생산물을 만들어야 경쟁력이 있을 것

Robinhood's business model and backlash, explained

Businessofbusiness

Robinhood's business model and backlash, explained

2021년 2월 2일 오전 4:36

댓글 4

  • 정보=가치로 파는거군요. 카카오톡처럼

  • 금융 관련 데이터를 볼려면 통계청에 들어가야하나요 ??? 요즘 파이썬 공부중인데 러데이터를 어떻게 찾아야하나 고민중이에요 ㅠㅠ

    어떤 데이터냐에 따라 다를것 같네요. 경제 지표들을 찾으신다면 통계청이 맞고요, 주식 데이터는 파이썬 패키지로도 있습니다. 아니면 api 형식으로 받을 수도 있어요. 사실 금융 관련 데이터라고 하면 너무 광범위해서, 원하시는 분야를 구체적으로 정하시고 그에 맞는 책을 보시는 걸 추천 드려요. 요즘 코드와 같이 나오는 금융 관련 데이터 분석 책들 많더라고요!

    주식데이터보다는 경제지표가 더 가까울 것 같아요. 책을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ㅠㅠ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