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는 언제 어떻게 시작하는 걸까?〕 유튜브나 음악예능을 보다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왜 이렇게 노래를 잘해?" 라는 말이 절로 나옵니다. 커리어리를 보다 보면 비슷한 감정을 느껴요. "아니,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왜 이렇게 글을 잘써?" 건강한 열등감으로 글쓰기를 시작해보고자 했으나, 도통 언제 어떻게 써야할지 막막한데요. 커리어리를 시작으로 브런치나 블로그, 미디어에 자신의 글을 펼쳐보고 싶지만 망설이시는 분들께 이 글을 공유 합니다. 〔👀콘텐츠 맛보기〕 손현님의 <에디터의 글쓰기>에 의하면, 글쓰기 가장 좋은 타이밍은 바로 지금이라고 한다. "한 번에 써라. 아니면 글에 힘이 사라진다." "언제 글을 쓰게 될까? 감정이 움찔대거나 일상 속에서 깨달음을 얻었을 때, 혼자만의 생각으로 끝내기 아쉬울 때, 관심 주제에 대해 꾸준히 기록을 싶을 때 등등. 쓰기 적당한 때는 결국 '글'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 지금이다." 이는 '불편한 상사'라는 브런치의 편견을 없애야 한다는 의미기도 하다. 상사 앞에 완벽한 기획서를 제출하기 위해 통계자료, 이미지 등을 벼락치기로 얹어보곤 하지만, 결국 기획서의 핵심인 '아이디어'는 내가 쌓아온 지혜와 경험, 바꿔 말하면 감정들에서 나올 수밖에 없다. 나아가 그 아이디어의 <좋고 나쁨>, 내지는 <받아들일 수 있느냐, 없느냐>를 판단하는 건 결국 상대방의 몫이다. 브런치에 올리는 글들에 대한 독자의 모든 반응을 내가 컨트롤할 수 없다는 얘기다.

브런치, 만들어 놓고 쓰지 못할 때

Brunch Story

브런치, 만들어 놓고 쓰지 못할 때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5월 11일 오전 3:5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2025 NYU REUNION DAY! 테헤란로 소진언니

    

    ... 더 보기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6 • 조회 1,384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