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줄 인상적인 인터뷰. 1. 김정주님과는 주고받았던 이메일이 기억에 남는데요. ‘당장 창업은 무섭고, 일단 취직은 어떨까요? ‘라는 내용의 이메일을 정주님한테 보냈어요. 그랬더니 답장이 왔죠. “첫 직장이 인생을 많이 결정해주는데 말이야. 취업은 다리를 건너거나(돌아오기 아주 어려운), 잘못해서 절벽에서 뛰어내리는 경우(많은 경우가 그렇지만 너는 아닌 듯)가 많거든. (취업은) 너에게 제트기를 타고 우주를 가는 일이 아닐지라도, 적어도 헬리콥터를 타고 호수를 건너는 일이지. 문제는 돌아올 수 있는 길이 거의 없지만.” 2. 그때 바닥이란걸 알았어요. 그동안 너무 쉽게 좋은 사람들을 만나 사업이 풀려서 벌을 내리나보다는 생각도요. 빚은 산더미고 1주일 단위로 사채를 돌려막고, 팀원들은 지쳐갔죠. 당시에 취업을 택한 대학 친구들은 다들 잘 나가고 있었거든요. 상대적 박탈감까지. 원형탈모까지 생겼죠. 3. 철학은 ‘노인과 아이 중에 누굴 죽여야 하느냐’를 두고 토론해요. 사회적 통념, 법을 다 내려놓죠. 그리고 오로지 내가 세운 논리, 그 논리의 정교함만 두고 싸워요. 창업이 그래요. 오로지 창업자가 맞다고 생각하는 그 논리. 그 논리로 세상에 없던 비즈니스나 혁신을 밀고 나가야해요. 그 논리를 얼마나 정교하게 세우고, 남들과 다른 상상을 해내느냐가 성공을 가르는 것 같아요. 철학과 비슷한 것 같지 않나요. 4. 실리콘밸리에서는 이런 말이 있대요. “스타트업의 성공은 300일에 결판난다”고요. 그게 벼락성장을 한다는 의미보다, 300일 동안 별별 일을 다 경험한다는 의미라는데요. 그게 거의 2000일을 갔어요. 예컨대 분명 정성적으론 성장했는데, 정량적으로 데이터가 안 나올 때 정말 힘들었죠. 분명 콘텐츠 퀄리티도 좋아지고 있고, 팀도 좋았어요. 그런데 이용자가 늘지 않고 매출도 제자리고. 이게 몇백일을 갔죠. ‘존버’가 제일 고통스러운 작업이예요. 얻은 것이요? 매일 꿈을 꿀 수 있어서 즐거웠죠. 밤에 누워서도 내일은 무슨 소설을 만들지 생각했어요. 언제 망할지 몰라서 매순간 쫄깃했고요. 어떤 하나를 아주 뾰족하고 디테일하게 파고드는 법을 배웠죠. 대학생 때는 옥스포드에서 정치, 철학, 예술을 좋아하고 거창한 이야기를 했죠. 사업은 다르더군요. 시장은 광활하고, 어느 작은 하나에 집중하고 디테일까지 다 챙겨야 성공할 수 있어요. 인생에서 좁고 깊게 파고드는 경험이었죠. 한번쯤 해볼만한, 뭐랄까, 전인적(全人的)인 경험이더군요. 그런데 이런 단어, 이젠 잘 안 쓰지 않나요?(웃음) __ Respect

[스타트업] '웹소설의 넷플릭스' 꿈, 이승윤 래디쉬 대표

Naver

[스타트업] '웹소설의 넷플릭스' 꿈, 이승윤 래디쉬 대표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5월 17일 오후 3:5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4,992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