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도 N년차도 '취활(就活)'을 한다] 구직활동을 우리나라는 '취준'(취업준비)라고 줄여 부릅니다. 일본에서는 '취활'(취업활동)이라고 하고요. 여기서 혹시 '취업'의 한자 의미를 찾아본 적 있으신가요? 저는 처음에 무언가를 '얻는다'의 의미인 취(取)를 사용하는줄 알았는데요. 그래서 "나는 '취'업 말고, 취'업'을 할거야!"라고 말하곤 했습니다. 일의 목적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저는 일을 통한 성장의 경험과 자아실현을 중시하기 때문이죠. 💡 그런데 그게 아니라, 무언가를 '이룬다' 혹은 '나아간다'는 의미의 취(就)를 사용하더라고요! 여기에 제가 커리어리를 사용하면서 느낀 것 중 하나가, N년 차가 되어도 끊임없이 부족함을 느끼고 일을 더 잘 하기 위해 노력하는 분들이 아주 많다는 겁니다. 일을 시작하려는 사람이든 일을 하고 있는 사람이든, 누구나 "취업"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죠. 배움의 단계나 수준은 다르더라도요. 그런 의미에서 저도 취업을 '준비'한다기 보다는, 취업활동을 하고 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조직에 소속되었느냐 여부를 떠나, 커리어 성장을 위해 하루 하루 성취하고 있으니까요! (+)실제 일본어가 그런 의미는 아닌 걸로 알고 있고요, 취준=취활이 맞습니다. 제가 한 번 의미를 그렇게 부여해본 것이죠😉 (+) 빨리 직업을 얻어야만 한다는 사회 분위기가 <취준>을 안타까운 단어로 만든 것 같다는 생각도 한 스푼 얹습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6일 오후 2:5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Continuous Discovery Habits> 번역 모음

    제가 지금까지 프로덕트 매니징 관련해서 읽었던 책과 아티클 중 가장 유용했던 자료예요. 특히 PMF를 찾기 위해 끊임없이 Discovery를 해야만 하는 스타트업의 Product Trio (PM, Product Designer, Software Engineer) 분들께 추천합니다. 작년에 회사 내 PM 챕터 스터디를 위해 조금씩 번역해두었는데요. 일부 내용을 요약/발췌해서 한 챕터씩?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번역이 완료된 챕터는 게시글 링크를 여기에 달아둘게요. 나중에 몰아서 보고 싶으신 분은 이 게시글을 저...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45 • 조회 2,391



    테드(TED) 강의장에 황소가 등장했다. <생각의 공유> 저자 리오르 조레프는 청중에게 황소 무게를 예측해 보라고 제안한다. 그러자 140㎏에서 3t까지 다양한 오답이 쏟아졌다.

    ... 더 보기

    왜 공동체에 집단 지성이 필요한가?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왜 공동체에 집단 지성이 필요한가?

    Replit 이용 후기

    최근 Repli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남겨봅니다.

    ... 더 보기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6 • 조회 4,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