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edding More Light on How Instagram Works
드디어 인스타피셜이 떴습니다. 인스타그램에서 사용자의 취향을 발견, 탐색, 만들어가는 알고리즘에 대한 내용입니다. 마케터, 인플루언서 분들을 포함해 "이 포스팅이 반응이 더 좋은 이유가 뭐지? 둘러보기 탭은 어떻게 정해지는 거지?” 이런 질문을 해본 적 있다면 한 번 읽어보시면 좋겠습니다. 알고리즘이 무엇인지부터 시작해요. 간단하게만 정리해보았어요. 1.피드와 스토리: 사용자들의 행태를 파악, 분석하고 ‘시그널’을 찾습니다. 중요도에 따라 시그널들을 나열해보면요. -포스팅의 정보: 일상적인 포스팅인지, 언제 업로드 되었는지, 영상의 경우 길이가 얼마나 되는지, 포스팅한 장소는 어딘지 -포스팅을 업로드한 사람의 정보: 매주 다른 유저와 얼마나 인터랙션 하는지, 당신과 교류가 많았던 사람인지 -사용자 본인의 정보: 어떤 포스팅에 관심이 많은지, 어떤 종류의 포스팅에 좋아요를 많이 눌렀는지 -사용자 본인의 활동 내용: 특정 유저에게 관심이 많은지, 댓글은 누구에게 다는지 2.둘러보기: 우선 이 탭에 띄울만한 포스팅을 정하고, 순위를 매깁니다. 여기서도 ‘시그널’들을 찾아요. 중요도에 따라 나열하면요 -포스팅의 정보: 이 게시물이 얼마나 인기를 얻을지, 사람들이 반응(좋아요, 댓글, 공유, 저장)을 얼마나 빠르게 하는지 -포스팅을 업로드한 사람과 본인의 교류: 본인이 전혀 모르는 사람이 본인의 게시물을 공유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그 사람이 본인의 게시물 관련 내용에 얼마나 관심이 있는지 -사용자 본인의 활동 내용: 과거에 좋아요, 댓글, 공유, 저장한 적이 있는지 -포스팅을 올린 사람의 정보: 몇 주 전부터 어떤 인터랙션을 했는지, 얼마나 다양하고 널리 교류를 했는지 3. 릴스: 둘러보기와 비슷합니다. -사용자 본인의 활동 내용: 좋아요, 댓글 등 어떤 포스팅에 반응했는지 -사용자 본인의 인터랙션: 둘러보기처럼 모르는 사람의 포스팅에 반응했다고 하더라도 그 전에 그 비슷한 포스팅에도 반응한 적이 있는지 (취향 탐색) -포스팅의 정보: 노래 트랙, 픽셀과 프레임, 인기도 -포스팅을 올린 사람의 정보: 인기도, 얼마나 다양하고 널리 교류했는지 4. 내 알고리즘을 길들이는 법 -스토리에서 친한 친구 설정 -관심 없는 사용자 뮤트 또는 블락 -추천된 포스팅이 별로면 가차없이 ‘관심 없음’ 클릭 최근 들어 알고리즘이 편향됐다는 이슈, 그리고 알고리즘을 폐쇄적으로 운영하면서 정책을 바꾸는 데 대해 지속적으로 불만이 제기되면서 인스타그램이 신경을 써서 공개할 수밖에 없었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 시리즈 아티클이 더 나온다고 해요.
2021년 6월 10일 오전 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