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월 16일 최신 마케팅 뉴스 #1 검색어가 곧바로 광고에…‘맞춤 광고’ 뭐길래? 소비자 입맛에 맞춰 상품을 드러내는 일명 ‘맞춤 광고’를 두고 반응이 심상치 않습니다. ‘소비자 개인 정보 침해’ 때문인데 정부는 모니터링 조직 강화에 나서며 맞춤형 광고 시장 감독 청사진을 그리고 있습니다. 관계자는 “비대면 거래가 급속도로 성장하는 상황에서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거래 분야에 공정한 경쟁질서를 확립하고 소비자 선택권을 보호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2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주목받는 마케팅 전략, D2C가 뜬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소비자의 구매패턴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그간 홀세일 중심의 온라인 쇼핑몰, 플랫폼 기반으로 구매자와 소비자 간 접점을 이어온 전자상거래(e커머스) 시장에서도 변화가 일고 있고 그 중심에는 D2C 전략이 있습니다. 전문가는 “본질적으로 자사의 브랜드를 구입하는 소비자를 가장 잘 알 수 있고, 소비자가 소비하는 고객경험과 이들이 원하는 니즈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점이 D2C 모델의 핵심가치”라고 말했습니다. #3 “MZ세대 잡아라”… ‘부캐 마케팅’ 바람 유명인으로 이뤄지던 부캐 마케팅이 최근 이처럼 한층 진화하고 있습니다. 유명인이나 인플루언서를 동원하는 대신에 소비자가 직접 부캐 제작에 참여하도록 하는 전략입니다. 참여형 마케팅을 즐기고 기업과의 소통에 적극적인 MZ세대(밀레니얼+Z세대)의 특성을 공략하기 위해서입니다. #4 유통가, 영상 마케팅 활발…"MZ세대 소통 강화" 유통업계가 틱톡, 유튜브 등 동영상 플랫폼을 활용한 마케팅 확대에 나섰습니다. 숏폼(짧은 동영상), 재밌는 콘텐츠에 익숙한 MZ세대(밀레니얼+Z세대)의 눈높이에 맞춰 디지털 마케팅을 넓히고 있습니다. 관계자는 "짧은 동영상에 익숙한 MZ세대와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유튜브, 틱톡 등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한 마케팅은 필수"라고 말했습니다. #5 4050 온라인 쇼핑 플랫폼 판이 커진다 40~50대 이상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 플랫폼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작년 코로나 이후 40대 이상 소비자의 온라인 쇼핑빈도는 더욱 높아져, 집콕 배달 앱 서비스 이용률 증가 등 모바일 앱에 보다 빠르게 적응하는 계기가 됐습니다. 중장년층 이용자는 2030에 비해 유입이 쉽지 않은 대신 유입된 이후 이탈이 크지 않고 객단가가 높아 전문 앱 출시로 빠르게 수요를 선점하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습니다. #6 은행, 마이데이터 시행 앞두고 ‘초개인화 마케팅’ 시동 국내 시중은행들이 오는 8월 마이데이터 서비스 시행을 앞둔 시점에서 '초개인화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간 고객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가 없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금융서비스를 제공해오던 은행들이 마이데이터서비스와 맞물려 이종산업과 고객 데이터 제휴를 맺는 방식으로 다양한 고객 맞춤형 금융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는 것입니다.

최신 마케팅 뉴스 6/17(목)

네이버 블로그 | 코딩바비 강사랑 블로그♡⃜

최신 마케팅 뉴스 6/17(목)

2021년 6월 17일 오전 1:20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