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정님의 프로필 사진

김민정

가상 세계에 관한 아티클을 읽으려고 들어갔다가, 먼저 읽어보면 좋을 글이라고 되있어서 먼저 읽은 '메타버스'관련 아티클 - Z세대는 모바일 기반의 세계에서 활동하는 게 자연스러운 '디지털 테이티브' 세대 - '메타버스'란 가상, 초월을 뜻하는 '메타(meta)'와 세계,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쉽게 말해 3차원 가상 세계를 말함 또는 특정 앱 서비스에 접속해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것도 메타버스의 일부 - 메타버스는 유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도 다른 사회를 구성하는 과정에 가깝다. 이 과정에서 유저들은 현실 세계의 외로움을 해소하고, 색다른 즐거움을 경험함. ​ 코로나로 오프라인에서 친구를 만날 기회가 줄어든 10대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거리낌 없이 받아들이고 있다.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친구를 만나고 개성을 드러내는 게 하나의 소통 방식이 되고 있다. 조금은 전문적인 얘기들이 많아서, 살짝 어려운 느낌도 있었던 아티클. 아무래도 '게임' 산업에 가장 많이 '메타버스'의 개념이 적용된 만큼, '게임' 관련된 얘기가 많아서 더 읽기 쉽지 않았다. 또한 글에 나온 서비스들 중에 아는 게 제페토 밖에 없던 것도 신기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들어보지도 못한 서비스를 통해 메타버스를 경험하고 있구나. (내가 Z세대가 아니라는 얘기인가,,?) ​ 전반적으로 '메타버스'에 대해 대략적으로 알 수 있었던 글 새로 알게된 *불쾌한 골짜기 (Uncanny Vally) 이론 : 인간이 로봇이나 캐릭터 같은, '인간이 아닌 존재'를 볼 때 인간과 닮을수록 호감도가 높아지지만, 일정 수준에 다다르면, 한마디로 어정정하게 인간과 비슷한 수준이 되면 오히려 불쾌감을 느낀다는 이론. '메타버스'가 발달함에 따라 기존 오프라인 미디어에서 벗어나 가상 공간에서의 새로운 마케팅이 각광받고 있다, 의 예시로 소개된 <이케아 하라주쿠점>의 버추얼 인플루언서 imma와 함께 진행한 오프라인 광고. '버추얼 인플루언서', '버추얼 모델'이라는 것에 대해 처음 들어봤는데, 조금 다른 생각을 하게 만들어준 것 같다. 이렇게 실제 사람과 다른 위화감이 하나도 느껴지지 않는 가상의 (virtual) 인플루언서가 언젠가는 실제 사람인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을 넘어서고, 완전히 대체하는 날이 올까?에 대한 생각을 했더니 기분이 이상해졌다.

네이버Z '제페토' 출신 담당자가 알려주는 메타버스 트렌드 10분 요약

publy.co

네이버Z '제페토' 출신 담당자가 알려주는 메타버스 트렌드 10분 요약

2021년 6월 27일 오후 12:38

댓글 0

지금 가입하고 개발 트렌드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개발 관심 분야 중 하나를 관심 분야로 선택하면 받아볼 수 있어요.

이메일로 가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