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습니다. 타다를 금지해도 유사한 서비스는 계속 나올 겁니다. 2018년 타다의 등장으로 이와 유사한 서비스는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타다로 인해 생긴 가장 큰 변화는 기사와 소비자의 관계입니다. 몇 년 전만 해도 선거철만 되면 기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취재원이 택시 기사입니다. 지역 여론을 대표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기자들은 택시 기사의 멘트를 중요한 여론으로 처리했습니다. 택시 기사는 자신의 택시에 탄 소비자의 성향과 원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정치나 사회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많이 불편하죠. 피곤해서 혹은 택시를 타고 가는 중에라도 쉬고 싶은 소비자도 택시 기사의 이야기를 어쩔 수 없이 들어야만 했습니다. 지금은 거의 사라졌지만 흡연자에게도 택시 내부의 담배 냄새는 상당히 참기 어려웠습니다. 승차 거부도 마찬가지입니다. 과거 택시는 소비자 중심이 아닌 택시 기사 중심의 공간이었습니다. 타다는 이런 환경을 급격하게 바꾼 주인공입니다. 강갑생 교통전문기자가 지적한 것처럼 지난해 10월 국회에서 발의된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안'의 통과 여부에 따라 타다의 사업 지속 여부가 결정됩니다. 강 기자가 지적한 것처럼 이번 개정안을 통해 여객자동차플랫폼 운송사업, 프랜차이즈 운송사업, 플랫폼운송중개사업 등이 법적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나올 수 있다고 합니다. 스타트업이 모빌리티 시장에 적극 도전할 수 있는 상황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문제는 플랫폼 운송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기여금을 내고 면허를 사야 한다는 점입니다. 돈이 부족한 스타트업은 이 시장에 뛰어들기 어렵다는 거죠. 택시 총량제 내에서 플랫폼운송사업 규모를 정하는 것도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이런 개정안이 만들어진 것은 아무래도 택시 업계의 반발 때문이죠. 공급과잉 시장으로 변해버린 택시 업계는 생존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스타트업은 새로운 혁신을 주장하면서 대립을 하는 형국이죠. 강갑생 전문기자의 분석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타다'를 금지해도 타다와 같은 서비스는 계속 나올 것입니다. "외국 사례에서 보듯이 택시업계와 승차공유서비스를 분리해서 각기 활성화하는 건 불가능하다.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 부족한 부분은 지속해서 머리를 맞대고 해법을 찾아 나가면 된다. 지금 이대론 혼란뿐이다"라고 결론을 냈습니다. 쉽고도 어려운 길입니다. 제가 강갑생 전문기자의 기사를 선택한 것은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라는 연재물을 추천하기 위해서입니다. '열차번호의 속뜻', '특수 항공화물의 세계', '인천공항 7억 번째 여객의 비밀' , '노선번호의 비밀' 등 국내외 교통 관련 정보와 상식을 재미있게 풀어낸 글이 많습니다. 전문기자의 역할을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과거 의학, 법조, 문학 등 분야에서만 전문기자들이 나왔지만 교통전문기자의 탄생에는 신문사로부터 인정받은 기자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타다 금지돼도 '타다' 같은 서비스는 이어진다

중앙일보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타다 금지돼도 '타다' 같은 서비스는 이어진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2월 6일 오전 12:5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디자인의 역할은 프로세스에서 낭비를 줄이고 생산성을 개선하는 것⟫

    ... 더 보기

    공공디자인, 중앙정부를 넘어 - 영국 디자인카운슬, 2025

    www.designdb.com

    공공디자인, 중앙정부를 넘어 - 영국 디자인카운슬, 2025

    최고의 리더가 되기 위한 덕목을 알려주는 지식은 수없이 많다. 대표적인 것이 2008년 구글이 발표한 ‘산소 프로젝트’다. 구글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팀장급 이상 관리자의 인사자료 1만 건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

    ... 더 보기

    ‘최악의 리더십’ 평가 받은 리더들의 공통적 특징 살펴보니…

    비즈N

    ‘최악의 리더십’ 평가 받은 리더들의 공통적 특징 살펴보니…

    네이버가 미국 실리콘밸리에 네이버벤처스를 설립한다.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신규 자회사다. 글로벌 인공지능(AI) 기술과 인재를 현지에서 적극 발굴해 네이버의 AI 전략과 시너지를 내겠다는 계획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3월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한 이해진 창업자(사진)가 AI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던진 승부수라는 해석이 나온다.

    ... 더 보기

    실리콘밸리에 VC 만드는 네이버…"AI 총력전"

    한국경제

    실리콘밸리에 VC 만드는 네이버…"AI 총력전"

    두 가지 목표가 있다. 어떤 목표가 학습 동기를 높인다고 생각하는가?

    ... 더 보기

    쉽고 재밌기만 한 교육은 독이다

    ㅍㅍㅅㅅ

    쉽고 재밌기만 한 교육은 독이다

    < 완벽한 계획은 없다, 그런데 왜 계획을 세울까? >

    1. 작전계획이란게 왜 필요한 걸까?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4 • 조회 758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

    ... 더 보기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

    뉴닉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