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S가 클라우드 끝판왕이 된 이유는? > 클라우드 시장에서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의 위치는 압도적이다. 아마존의 AWS, 마이크로소프트(MS)의 애저, 구글의 GCP는 하이퍼 스케일 급의 클라우드 공급 업체로 묶이지만, AWS 앞에는 '울트라'라는 수식어까지도 붙어야 할지 모른다. 이는 시장 점유율에서 확실하게 드러난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2020년 기준 AWS의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IaaS) 시장 점유율은 40.8%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위인 MS 애저 점유율 19.7% 보다 2배 이상 높다. 2017년에는 AWS를 통하는 컴퓨팅 사용량이 AWS를 제외한 14개 기업의 컴퓨팅 사용량을 합한 것보다 무려 10배가 넘는다는 조사 결과도 있었다. 무엇이 이토록 AWS를 크게 만든 것일까? 현 아마존 CEO이자, 전 AWS CEO였던 앤디 제시는 AWS의 강점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간단하다. AWS는 규모의 경제를 이뤄 매우 저렴하다" 그도 그럴 것이 AWS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출시한 이후, 날로 규모를 키워가면서 서비스 제공 가격을 인하하는 정책을 펼쳤다. 2019년 기준 무려 67차례 가격 인하를 단행했다. 그럼에도 영업이익률은 30% 수준이다. 삼성증권 글로벌 리포트에 따르면, AWS 서비스 가격 인하에 따른 잠재 고객 유인 효과가 오히려 시장 성장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성장이 가격 인하로 인한 매출액 감소 효과를 압도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AWS의 '클라우드 선순환' 비즈니스의 핵심이기도 하다.

AWS가 클라우드 끝판왕이 된 이유는? - 테크42

테크42 - Tech Journalism by AI

AWS가 클라우드 끝판왕이 된 이유는? - 테크42

2021년 11월 2일 오전 1:32

댓글 0